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반을가치[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5 페이지 / 전적]
바늘같이. 바늘처럼.
반을가치[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3 페이지 / 전적]
바늘같이. 바늘처럼.
반의(斑衣)[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118 페이지 / 전적]
「斑衣」―老萊子는 春秋時代 楚人인데、性이 至孝하여 나이가七十이 되어서도、항상 五色의 斑爛衣를 입고 嬰兒의 戱를 하여 그 어버이를 즐겁게 하였음。斑衣는 이에 起因된 것임。
반의(斑衣)[견월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알록달록한 옷. 색동옷.
반의(斑衣)[견월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알록달록한 옷. 색동옷.
반이리[노정가라(노졍기라) 15 페이지 / 전적]
반일(半日)이. 한나절이.
반자(潘子)[석천집(石川集二-一)2-1 12 페이지 / 전적]
唐 潘岳이니 白髮이 되어 悲秋賦를 지었다
반자지도(半子之道)[별교사(별교) 6 페이지 / 두루마리]
반은 아들이라는 뜻으로, ‘사위’로서의 도리를 다함.
반잔(盤盞)[청춘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소반 위의 술잔. 또는 받침이 있는 술잔.
반장(泮長)[팔도안희가 20 페이지 / 전적]
대사성(大司成)을 달리 부르는 말이다.
반적(叛賊)[오륜가라 18 페이지 / 전적]
자기 나라를 배반한 역적.
반적(叛賊)[초씨션원쳥음가 6 페이지 / 전적]
자기 나라를 배반한 역적.
반적(叛賊)[오륜가라 13 페이지 / 전적]
자기 나라를 배반한 역적.
반적(叛賊)[가사소리 13 페이지 / 전적]
자기 나라를 배반한 역적.
반적달[종매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중로상봉(中路相逢), 즉 반보기.
반정(反正)[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22 페이지 / 전적]
옳지 못한 임금을 폐위하고 새 임금을 세워 나라를 바로잡음.
반정(反正)[한양가라 4 페이지 / 전적]
옳지 못한 임금을 폐위하고 새 임금을 세워 나라를 바로잡음. 여기서는 조선건국을 말한다.
반정(反正)[한양가라 27 페이지 / 전적]
옳지 못한 임금을 폐위하고 새 임금을 세워 나라를 바로 잡음. 여기서는 세조가 조카인 단종을 몰아내고 왕위에오른 것을 말함.
반정(反正)[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05 페이지 / 전적]
①본디의 바른 상태(狀態)로 돌아가게 함 ②나쁜 임금을 폐(廢)하고 새 임금을 대신(代身) 세우는 일.
반제(攀躋)[ 1 페이지 / ]
제반躋攀. 반등攀登, 붙잡고 오름. 기어서 오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