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강호에 석 잔 술[석천집(石川集二-二)2-2 186 페이지 / 전적]

석 잔 술에 대도와 통하고, 한 말 술에 자연과 합치되네.[三盃通大道, 一斗合自然.] -이백<獨酌>시

강혼(强婚)[칠석가 1 페이지 / 전적]

강제로 혼인을 시킴.

강홍립[팔역가(八域歌) 6 페이지 / 전적]

광해군 때 장수

강홍립(姜弘立)[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11 페이지 / 전적]

조선 중기의 무신. 명나라의 원병으로 5도도원수(五道都元帥)가 되어 후금을 쳤으나 대패함. 조선과 명나라 연합군은 부차(富車)에서 대패하고, 강홍립은 조선군의 출병이 부득이하여 이루어진 사실을 적진에 통고한 후 군사를 이끌고 후금에 항복함.

강홍립(姜弘立)[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11 페이지 / 전적]

조선 중기의 무신. 명나라의 원병으로 5도도원수(五道都元帥)가 되어 후금을 쳤으나 대패함. 조선과 명나라 연합군은 부차(富車)에서 대패하고, 강홍립은 조선군의 출병이 부득이하여 이루어진 사실을 적진에 통고한 후 군사를 이끌고 후금에 항복함.

강홍립(姜弘立)[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11 페이지 / 전적]

조선 중기의 무신. 명나라의 원병으로 5도도원수(五道都元帥)가 되어 후금을 쳤으나 대패함. 조선과 명나라 연합군은 부차(富車)에서 대패하고, 강홍립은 조선군의 출병이 부득이하여 이루어진 사실을 적진에 통고한 후 군사를 이끌고 후금에 항복함.

강홍립(姜弘立)[대명복수가(명복수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조선 중기의 무신. 명나라의 원병으로 5도도원수(五道都元帥)가 되어 후금을 쳤으나 대패함. 조선과 명나라 연합군은 부차(富車)에서 대패하고, 강홍립은 조선군의 출병이 부득이하여 이루어진 사실을 적진에 통고한 후 군사를 이끌고 후금에 항복함.

강홍립(姜弘立)[대명복수가(명복수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조선 중기의 무신. 명나라의 원병으로 5도도원수(五道都元帥)가 되어 후금을 쳤으나 대패함. 조선과 명나라 연합군은 부차(富車)에서 대패하고, 강홍립은 조선군의 출병이 부득이하여 이루어진 사실을 적진에 통고한 후 군사를 이끌고 후금에 항복함.

강홍립(姜弘立)[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29 페이지 / 전적]

조선 광해군 때의 무신(1560~1627). 자는 군신(君信). 호는 내촌(耐村). 광해군 11년(1619)에 심천(深川) 싸움에 오도 도원수(五道都元帥)로 출정하였다가 후금(後金)의 포로가 되어 9년간 그곳에 머물렀다. 그 뒤 정묘호란 때 후금의 사신으로 강화(江華)에 와서 화의를 주선한 후에 국내에 머물렀으나, 역신으로 몰려 단식하다가 죽었다.

강화(江華)[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17 페이지 / 전적]

오늘날 경기도 강화도.

강화(講話)[삼강오륜가 서 11 페이지 / 전적]

쉽게 풀어서 강의하듯이 설명하여 들려주는 것. 또는 그 이야기.

강화공신(講和功臣)[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28 페이지 / 전적]

싸우던 두 편이 싸움을 그치고 평화로운 상태가 되로록 공을 세운 신하.

강화대신(講和大臣)[팔도안희가 9 페이지 / 전적]

청나라에 대해 주화론을 주장한 대신들을 말하며, 주요 인물로는 백헌 이경석(白軒 李景奭, 1595-1671)이다.

강화유수(江華留守)[팔도안희가 20 페이지 / 전적]

유수(留守)는 조선시대에 수도 이외의 중요한 곳을 맡아 다스리던 정이품의 외관(外官) 벼슬로 개성, 강화, 광주, 수원, 춘천 등지에 두었다.

강희황제[팔역가(八域歌) 6 페이지 / 전적]

청나라 제4대 황제

강히[셕별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강작하게. 기운을 내서. ‘강작하다’는 억지로 기운을 내다.

강공이 쟝수되여[역대가라(역가라) 6 페이지 / 전적]

강태공(姜太公)이 장수(將帥)되어. 강태공은 태공망(太公望) 여상(呂尙)을 말한다. 주(周) 나라 동해(東海) 사람으로 성은 강씨(姜氏)요 자는 자아(子牙)이다. 그가 늙어서 숨어지내며, 낚시를 하고 있었는데, 주문왕(周文王)이 위수(渭水)에 사냥을 갔다가 만나 함께 돌아와 사부로 삼고, 나중에 무왕이 주왕(紂王)을 치는데 큰 공을 이룬다.

갖은[뎡슝샹회방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골고루 다 갖춘. 또는 여러 가지의.

갖은몽생[추월감 8 페이지 / 두루마리]

온갖 생각.

갖은유린(蹂躪)[추월감 9 페이지 / 두루마리]

갖가지 남의 권리나 인격을 짓밟음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