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강쇠(降衰)[권학가 6 페이지 / 전적]
문화 도덕 따위가 점점 쇠약해지는 것
강숙[석천집(石川集二-五)2-5 31 페이지 / 전적]
김성원의 자이니 호는 인제(忍齊)이다.
강숙(剛叔)[석천집(石川集二-五)2-5 100 페이지 / 전적]
김성원(金成遠, 1525-1597)의 자임. 임억령(林億齡)은 담양의 성산(星山)에 은거하면서 김성원, 고경명(高敬命), 정철(鄭澈)등과 함께 성산 사선(四仙)으로 자처하였음.
강숙(剛叔)[석천집(石川集二-五)2-5 148 페이지 / 전적]
김성원(金成遠, 1525-1597)의 자(字). 이 시를 지은 임억령을 비롯하여 김성원, 고경명(高敬命), 정철(鄭撤) 등은 성산 4선(星山四仙)으로 자처하면서 시적 교유를 가졌음.
강순(康純)[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01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의 무신(?~1468)으로 자는 태초(太初)이다. 음보(蔭補)로 무관에 등용되어 이시애의 난을 평정하고 영의정에 올랐으나, 유자광의 모함으로 처형되었다.
강시(僵屍/殭屍)[거창가라 22 페이지 / 전적]
① 얼어 죽은 시체.② 쓰러져 있는 시체.
강시(僵屍/殭屍)[아림가(娥林歌) 23 페이지 / 전적]
① 얼어 죽은 시체. ② 쓰러져 있는 시체.
강시사(降尸砂)[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5 페이지 / 전적]
주검이 드리운 사(砂)의 형세.
강시사(降尸砂)[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5 페이지 / 전적]
주검이 드리운 사(砂)의 형세.
강시사(降尸砂)[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3 페이지 / 전적]
주검이 드리운 사(砂)의 형세.
강신(降神)[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25 페이지 / 전적]
음력 10월 성조신(成造神)에게 새로 나온 곡식과 과일로 제사를 올리고 집안이 편안하기를 비는 날.
강신(降神)[남은곡 권지단이라 19 페이지 / 전적]
제사를 지내는 절차의 하나. 처음 잔을 올리기 전에 신을 내리게 하기 위하여 향을 피우고 술을 따라 모사(茅沙) 위에 부음.
강씨[구궁환정구구가(九宮還定九九歌) 3 페이지 / 전적]
갱정유도의 창시자인 강대성을 이르는 듯하다.
강약정(姜約正) 약정(約正)[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26 페이지 / 전적]
강씨 성을 가진 약정. 조선시대 향약 조직의 임원.
강왕(康王)[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26 페이지 / 전적]
발해 제6대 왕(?~809). 성은 대(大). 이름은 숭린(崇璘). 연호를 정력(正曆)이라고 하였으며, 당나라와 일본에 사신을 보내 문물 교환을 활발히 하였다.
강우규(姜宇奎)[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68 페이지 / 전적]
독립운동가(1855~1920). 자는 찬구(燦九). 호는 일우(日愚). 1911년에 만주로 건너가 지린(吉林)에 동광(東光) 학교를 세워 인재를 양성하였다. 1919년 9월에는 조선 총독으로 부임하는 사이토 마코토(齋藤實)를 죽이기 위하여 폭탄을 던졌으나 실패하고 체포되어 순국하였다.
강원도 관찰사(守江原道觀察使)[송강집(松江集三)3 74 페이지 / 전적]
품계가 낮은 사람이 높은 관직에 있거나 소관(小官)으로 대관(大官)을 겸임하는 것을「守」라 일컬음.
강유(剛柔)[혼례가(婚禮歌) 6 페이지 / 전적]
강함과 유연함.굳세고 부드러움.
강윤성(康允成)[한양가라 8 페이지 / 전적]
조선 태조 이성계의 둘째 부인 신덕왕후강씨(神德王后姜氏)의 친정아버지.
강이장(剛而丈) 이정(李楨)[ 1 페이지 / ]
강이는 이정의 자이며 호는 구암(龜巖)이고 본관은 사천(泗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