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강산추월(江山秋月)[추월감 5 페이지 / 두루마리]
산과 강의 뜬 가을 달로 자연의 아름다운 풍경을 비유.
강산풍월(江山風月)[한별곡 9 페이지 / 전적]
자연의 아름다운 풍경.
강상(江上)리[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22 페이지 / 전적]
강상(江上)에.
강상(綱常)[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19 페이지 / 전적]
삼강(三綱)과 오륜(五倫). 곧 사람이 지켜야할 도리.
강상(綱常)[ 1 페이지 / ]
삼강(三綱)과 오륜(五倫). 곧 사람이 지켜야할 도리.
강상(綱常)[장연변씨세적(長淵邉氏世蹟) 87 페이지 / 전적]
삼강(三綱)과 오륜(五倫). 곧 사람이 지켜야할 도리.
강상(綱常)[옥산가라 20 페이지 / 전적]
삼강(三綱)과 오상(五常)을 아울러 이르는 말. 곧 사람이 지켜야 할 도리를 이름.
강상(綱常)[옥산가라 23 페이지 / 전적]
삼강(三綱)과 오상(五常)을 아울러 이르는 말. 곧 사람이 지켜야 할 도리.
강상(綱常)[녁대가(녁가) 28 페이지 / 전적]
삼강(三綱)과 오상(五常)을 아울러 이르는 말. 곧 사람이 지켜야 할 도리를 이름.
강상(綱常),금고문(今古文)[자경별곡 10 페이지 / 전적]
삼강(三綱)과 오륜(五倫). 곧 사람이 지켜야할 도리.경학(經學)의 금문(今文)과 고문(古文).
강생(降生)[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1 페이지 / 전적]
신이 인간으로 태어남. 어진 사람이 나심.
강선(江船)[합셩가라 5 페이지 / 전적]
강배.강에서 쓰는 배.
강선(江船)[합셩가라 5 페이지 / 전적]
강배.강에서 쓰는 배.
강선(江船)[합셩가라 5 페이지 / 전적]
강배.강에서 쓰는 배.
강선(江船)[합셩가라 5 페이지 / 전적]
강배.강에서 쓰는 배.
강선루[팔역가(八域歌) 11 페이지 / 전적]
평안남도 성천에 있는 누각, 관서 8경의 하나
강설[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191 페이지 / 전적]
신선의 약이름.《漢武帝 內傳》에 ‘선가의 상약에는 현상(玄霜)과 강설(絳雪)이 있다.‘ 하였음.
강설(絳雪)[석천집(石川集二-四)2-4 19 페이지 / 전적]
옛날 신선들이 복용했다고 하는 붉은 색의 丹藥. <<漢武帝,內傳>>:『仙家上藥有玄霜絳雪』
강성(康成)[송강집(松江集三)3 34 페이지 / 전적]
한(漢) 나라 때의 유명한 경학자(經學者)임. 전적(典籍)에 정통하므로 사람들이 경신(經神)이라고 일컬었다. 史要에「精通典籍人謂之經神」
강쇄(降殺)[송강집(松江集三)3 78 페이지 / 전적]
복(服)이 점차 경하여감을 이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