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강텬[ 1 페이지 / ]
강천江天. 멀리 보이는 강 위의 하늘. 넓은 강가를 말한다.
강포(强暴)[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20 페이지 / 전적]
몹시 우악스럽고 사나움.
강포(强暴)[창덕가2 58 페이지 / 전적]
강경하고 포악함.
강포(强暴)[창덕가2 59 페이지 / 전적]
강경하고 포악함.
강하의 아이와[석천집(石川集二-二)2-2 245 페이지 / 전적]
황향(黃香)이 고금을 알고 많은 책을 기억해, 섭렵하지 않은 것이 없었다. 게다가 도참. 천관. 성기(星氣). 종률(鍾律). 역산(曆算)을 좋아하고 도술에도 뛰어나, 서울에서 그를 ‘천하무쌍(天下無雙) 강하황동(江夏黃童)‘이라고 불렀다. -<<동관한기(東觀漢記)>>
강학(講學)[삼강오륜가 서 12 페이지 / 전적]
학문을 닦고 연구하는 것.
강한[석천집(石川集二-五)2-5 66 페이지 / 전적]
양자강(揚子江)과 한수(漢水)를 지칭한다.
강한(江漢)[송강집(松江集二)2 98 페이지 / 전적]
書經 禹貢에「江漢祖宗干海…」
강한(江漢)[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7 페이지 / 전적]
「江漢浮萍」-취중에 萬物을 보면 마치 물속에 뜬 萍草가 풍파를 따라 흔들리는 것과 같다는 말임 劉伶의 酒德頌에「擾擾然如江漢之浮萍」이라는 구절이 있음
강한(江漢)[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79 페이지 / 전적]
「江漢」-召虎의 故事를 借用한 것임。詩經 大雅江漢에 「江漢之滸 王命召虎 式辟四方」이란 句가 있음
강혁(江革)[양친가(養親歌) 6 페이지 / 전적]
중국의 이름난 효자
강호[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156 페이지 / 전적]
「江湖憂」- 范希文의 岳陽䅹記에 「廟堂의 높은 자리에 居하면 그 백성을 걱정하고 江湖의 먼곳에 處하면 그 임금을 걱정한다」라 하였음.
강호 임천(江湖林泉)[권학가 6 페이지 / 전적]
강과 호수, 그리고 수풀 속에 있는 샘.
강호(江湖)[제석회향가(除夕懷鄕歌) 1 페이지 / 두루마리]
은자(隱者)가 현실을 도피하여 생활하던 시골이나 자연.
강호(江湖)[제석회향가(除夕懷鄕歌) 1 페이지 / 두루마리]
은자(隱者)가 현실을 도피하여 생활하던 시골이나 자연.
강호(江湖)[북쳔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시골이나 자연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강호(江湖)[김씨효행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현실을 등지고 생활하던 시골이나 자연. 여기서는 시골을 의미함.
강호(江湖)에 병이 깊어[관동별곡 3 페이지 / 전적]
강호 즉 자연을 사랑하는 정이 병이 날 만큼 깊어. 천석고황(泉石膏肓).
강호江湖[ 1 페이지 / ]
자연.
강호령(强號令)[남자답가라(남답가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아주 강하게 꾸짖는 호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