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강적(江笛)[북쳔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강가의 피리소리.
강적(羌笛)[북쳔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오랑캐족의 피리.
강적(降跡)[권왕가 55 페이지 / 전적]
내려와서 자취를 나타냄.
강절[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61 페이지 / 전적]
「康節梅」― 梅花數는 古代義 占法인데 邵康節의 所作이므로 빌려 쓴 것임
강정(江亭)[ 1 페이지 / ]
강가에 있는 정자.
강제체형(强制體刑)[무제(▩▩▩▩) 22 페이지 / 두루마리]
사람들에게 까닭 없이 강제로 신체에 가하던 형벌.
강제체형(强制體刑)[무제(▩▩▩▩) 22 페이지 / 두루마리]
사람들에게 까닭 없이 강제로 신체에 가하던 형벌.
강조(康兆)[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51 페이지 / 전적]
고려 시대의 무신(?~1010)으로 목종 12년(1009)에 김치양이 난을 일으키자, 정변(政變)을 일으켜서 목종과 김치양 부자를 살해하고 현종을 임금으로 세워 세력을 떨쳤다. 그 뒤 요나라의 성종이 목종 살해 사건을 구실로 쳐들어오자 이에 맞서 싸우다가 동주(東州)에서 잡혀 살해되었다.
강종(康宗)[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57 페이지 / 전적]
고려 제22대 왕(1152~1213)으로 이름은 숙(璹)·정(貞)·오, 자는 대화(大華)이다. 명종의 맏아들로 명종 27년(1197)에 최충헌에게 쫓기어 부왕과 함께 강화도로 갔다가 희종을 폐한 최충헌에 의하여 왕위에 올랐다. 재위 기간은 1212~1213년이다.
강주(江州)[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48 페이지 / 전적]
「江州檀」― 南史 陶潛列傳에 『親老家貧하므로 州의 祭酒로 나갔으나 吏職을 감당하기 못하여 몇날이 못가 스스로 解職하고 돌아왔다. 州에서 主簿로 불렀으나 就任하지 않고, 躬耕自資하여 마침내 羸疾을 안게되었다.江州剌史 檀道濟는 가서 問候하자 偃臥瘠餒하여 여러날이 되었으므로 道濟는 말하기를 「夫賢者處世 天下無道則隱 有道則至 今子生文明之世 奈何自苦如此」對曰 「潛也何敢望賢 志不及也」道濟는 梁肉으로써 선물하였으나 마다하고 받지 아니했다』라 했음.
강중(江中)[초한가라 6 페이지 / 전적]
본래는 패왕강중살의제(覇王江中殺義帝)에서 나온 말. 항우가 강중에서 의제를 살해한 사실.
강쥬상[상사곡이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강주상객. 강주(康州)는 지금의 진주를 뜻하고, 상객은 지위가 높은 귀한 손님.
강증산(姜甑山)[회과자책가(悔過自責歌) 6 페이지 / 전적]
증산교의 창시자인 강일순(1871~1909)을 이른다.증산은 그의 호이다.그는 광무 4년(1900)에 유불선(儒佛仙)의 사상을 토대로 증산교를 창시하였다.증산교는 뒤에 그의 제자 차경석(車京石), 김형렬(金亨烈)에 의하여 보천교(普天敎)와 태을교(太乙敎)로 분리되었다.
강진(康津)[호남가(湖南歌) 4 페이지 / 전적]
전라남도 남서 해안에 위치한 한 군으로 1895년에 군으로 승격되었다.
강진(康津)[한양가라 96 페이지 / 전적]
전라남도 강진군.
강진(康津)[호남가라 3 페이지 / 전적]
전라남도 남쪽 해안에 위치한 군.
강천(江天)[속미인곡 6 페이지 / 전적]
툭 터진 강가.
강천막막(江天漠漠)[금강산유람가 12 페이지 / 두루마리]
강천이 아주 넓거나 멀어 아득함.
강촉(强促)[환행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강하게 재촉함.
강촉(强促)[환행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강하게 재촉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