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거적을 깔고[백세보중(百世葆重 四)4 17 페이지 / 전적]

침점침초寢苫枕草의 준말로 부모의 상에 있어 몹시 슬픔.

거절(拒絶)[이율곡선생권선가(李栗谷先生勸善歌) 9 페이지 / 전적]

상대편의 요구, 제안, 선물, 부탁 따위를 받아들이지 않고 물리침.

거절(拒絶)[자치가라 14 페이지 / 두루마리]

남의 제의나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고 물리친다는 뜻이나 여기서는 끊어졌다는 뜻임.

거제(籧蒢)[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60 페이지 / 전적]

「籧蒢」―竹席인데 屈伸을 못하는 病에 비유하여 씌어지고 있음.

거조(擧措)[아림가(娥林歌) 28 페이지 / 전적]

① 말이나 행동 따위를 하는 태도. ② 어떤 일을 꾸미거나 처리하기 위한 조치. ③ 큰일을 저지름.

거족(巨族)[여자석별가 16 페이지 / 전적]

큰 집안. 여기서는 먼 친척.

거족(巨族)[회혼가 9 페이지 / 두루마리]

대대로 번창하고 문벌이 좋은 집안.

거족(巨族)[축원하온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대대로 번창하고 문벌이 좋은 집안.

거족(擧足)을 여곽(如躩) 하시며 기언(其言)이 부족(不足) 하다 하시며[사군가(事君歌) 5 페이지 / 전적]

걸음도 조심하시며 그 말씀은 족하지 못한 것 같다 하시며.

거지락(居至樂)[회츈가라 4 페이지 / 전적]

머무르는 즐거움.

거지락(居至樂)[영산초장이라 2 페이지 / 전적]

머무르는 즐거움.

거지말고[소동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거의 하지 말고. ‘거지’는 ‘거의’의 사투리.

거지중천(居之中天)[춘분유산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하늘 높이 떠 있는 모습. 허공 .유산가의 한 구절

거질미왕(居叱彌王)[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45 페이지 / 전적]

가야의 제4대 왕(?~346)으로 금물(今物)이라고도 한다. 재위기간은 291~346년이다.

거짓[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28 페이지 / 전적]

「僞烽」―妖姬 褒姒는 周幽王의 愛妾인데, 아들 伯服을 生하자幽王은 마침내 申后 및 太子를 廢하고 褒姒를 后로 伯服을 太子로 삼았다. 褒姒가 잘 웃지 않으므로 幽王은 웃게하기 위해 烽燧大皷를 만들어 寇가 온것처럼 烽火를 드니 諸侯가 모두와본즉 寇가 없었다. 褒姒는 이를보고 마침내 크게 웃으니, 幽王은 기뻐하여 자주 烽火를 들게 하였고 諸侯들도 그 뒤로는 믿지 아니하여, 와서 보지 않았었다. 申侯는 王이 申后 및 太子를 廢함을 보고 怒하여, 繒西, 夷犬戎과

거짓계라[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34 페이지 / 전적]

거짓계(界)라. 거짓 세계라.

거찬(擧餐)[고분가 5 페이지 / 전적]

안주를 먹다.혼례 시 신랑이 묵을 뒤집은 후 안주로 먹는 것을 이른다.

거찬(擧餐)[고분가 5 페이지 / 전적]

안주를 먹다.혼례 시 신랑이 묵을 뒤집은 후 안주로 먹는 것을 이른다.

거창신씨(居昌愼氏)[한양가라 57 페이지 / 전적]

연산군의 부인 신씨의 본관(本貫).

거창신씨(居昌愼氏)[한양가라 57 페이지 / 전적]

중종의 원비 단경왕후신씨(端敬王后愼氏)의 본관(本貫).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