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걸주(桀紂)[ 1 페이지 / ]
하나라의 걸왕과 은나라의 주왕, 천하의 폭군.
걸주(桀紂)[무제 13 페이지 / 전적]
하나라의 걸왕과 은나라의 주왕, 천하의 폭군.
걸주(桀紂)[용산세보(蓉山世寶) 2 페이지 / 전적]
하나라의 걸왕과 은나라의 주왕, 천하의 폭군.
걸주(桀紂)[한흥가라 10 페이지 / 전적]
중국 하(夏)의 걸왕(桀王)과 은(殷)의 주왕(紂王)을 아울러 일컬음.
걸주(桀紂)[한양가라 9 페이지 / 전적]
천하의 폭군을 일컫는 대명사로 중국 하나라의 걸왕(桀王)과 은나라의 주왕(紂王)을 가리킨다.
걸주(桀紂)[잣치가라(치라) 24 페이지 / 전적]
하나라와 은나라의 마지막 왕인 걸왕과 주왕을 말함.
걸주(桀紂)[창덕가2 13 페이지 / 전적]
중국 하(夏)나라의 걸왕(桀王)과 은(殷)나라의 주왕(紂王)을 가리키는 말로, 포악무도(暴惡無道)의 대명사로 쓰임.
걸주(桀紂)[창덕가2 58 페이지 / 전적]
중국 하(夏)나라의 걸왕(桀王)과 은(殷)나라의 주왕(紂王)을 가리키는 말로, 포악무도(暴惡無道)의 대명사로 쓰임.
걸주(桀紂)[창덕가2 14 페이지 / 전적]
중국 하(夏)나라의 걸왕(桀王)과 은(殷)나라의 주왕(紂王)을 가리키는 말로, 포악무도(暴惡無道)의 대명사로 쓰임.
걸주(桀紂)[창덕가2 59 페이지 / 전적]
중국 하(夏)나라의 걸왕(桀王)과 은(殷)나라의 주왕(紂王)을 가리키는 말로, 포악무도(暴惡無道)의 대명사로 쓰임.
걸주(桀紂)시대 탄생하여 자탄이 없을소냐[자탄가 자탄이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하나라의 마지막 왕인 걸왕(桀王)과 은나라의 마지막 왕인 주왕(紂王). 둘다 천하의 폭군으로 나라를 망하게 했다.
걸쥬[ 1 페이지 / ]
걸주桀紂. 중국의 폭군으로 일컬어진 하夏나라의 걸왕과 은殷나라의 주왕.
걸해(乞骸)[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七)7 110 페이지 / 전적]
乞骸骨의 준 말인데 乞身과 같은 뜻임. 仕宦을 하면 몸을 나라에 바치기 때문에 致仕할 때는 乞身 또는 乞骸라 씀. 漢書 趙充國傳에 「充國乞骸骨 賜安車駟馬 黃金六十斤 罷就第」라 하였음.
걸해표(乞骸表)[원유가 9 페이지 / 전적]
사직하기를 청함.
검각(劒閣)[송강집(松江集三)3 28 페이지 / 전적]
중국(中國) 사천성(泗川省)에 있는 산(山).
검각(劒閣)[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六)6 102 페이지 / 전적]
「劒閣」-後漢 劉禪이 蜀에서는 亡한 것을 말함
검각산(劒閣山)[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44 페이지 / 전적]
「劒閣山」- 蜀에 있는 山이름임. 明皇의 幸蜀을 말함.
검각산(劒閣山)[옥셜화답 3 페이지 / 전적]
중국 장안에서 촉(蜀)으로 가는 길에 있는 대검(大劒)·소검(小劒)의 두 산의 요해(要害). 각도(閣道)가 통하므로 이름.
검광(劍光)[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5 페이지 / 전적]
칼날의 빛.
검극(劍戟)[삼팔가(三八歌) 7 페이지 / 전적]
칼과 창을 아울러 이르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