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격양가(擊壤歌)[헌수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고대에 태평성대를 만난 백성들이 괭이로 땅을 두드리며 살기 좋음을 구가했다는 노래. 중국의 요임금 때에, 태평한 생활을 즐거워하여 불렀다고 함.
격양가(擊壤歌)[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12 페이지 / 두루마리]
풍년이 들어 농부가 태평한 세월을 즐기는 노래. 중국의 요임금 때에, 태평한 생활을 즐거워하여 불렀다고 한다.
격양가(擊壤歌)[권농가(권롱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풍년이 들어 농부가 태평한 세월을 즐기는 노래로 중국의 요임금 때에, 태평한 생활을 즐거워하며 불렀다고 한다.
격양가(擊壤歌)[만수가(만슈가) 15 페이지 / 두루마리]
풍년이 들어 농부가 태평한 세월을 즐기는 노래. 중국의 요임금 때에, 태평한 생활을 즐거워하여 불렀다고 함.
격양가(擊壤歌)[조심가라 8 페이지 / 전적]
요순(堯舜)시대에 늙은 농부가 태평한 세월을 즐거워하며 땅을 치면서 불렀던 노래라고 함.
격양가(擊壤歌)[헌수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고대에 태평성대를 만난 백성들이 괭이로 땅을 두드리며 살기 좋음을 구가했다는 노래. 중국의 요임금 때에, 태평한 생활을 즐거워하여 불렀다고 함.
격양가(擊壤歌)[만수가(만슈가) 15 페이지 / 두루마리]
풍년이 들어 농부가 태평한 세월을 즐기는 노래. 중국의 요임금 때에, 태평한 생활을 즐거워하여 불렀다고 함.
격양가(擊壤歌)[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12 페이지 / 두루마리]
풍년이 들어 농부가 태평한 세월을 즐기는 노래. 중국의 요임금 때에, 태평한 생활을 즐거워하여 불렀다고 한다.
격양가(擊壤歌)[조심가라 8 페이지 / 전적]
요순(堯舜)시대에 늙은 농부가 태평한 세월을 즐거워하며 땅을 치면서 불렀던 노래라고 함.
격양가(擊壤歌)[권농가(권롱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풍년이 들어 농부가 태평한 세월을 즐기는 노래로 중국의 요임금 때에, 태평한 생활을 즐거워하며 불렀다고 한다.
격양가(擊壤歌)[자심운수가(심운수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풍년이 들어 농부가 태평한 세월을 즐기는 노래. 중국 당요 때 불리워짐
격양가(擊壤歌)[조선충효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풍년이 들어 농부가 태평한 세월을 즐기는 노래. 중국의 요임금 때에, 태평한 생활을 즐거워하여 불렀다고 함.
격양가(擊壤歌)[거창가라 12 페이지 / 전적]
풍년이 들어 농부가 태평한 세월을 즐기는 노래.중국의 요임금 때에, 태평한 생활을 즐거워하여 불렀다고 한다.
격양가(擊壤歌)[용문가라 3 페이지 / 전적]
풍년이 들어 농부가 태평한 세월을 즐기는 노래. 중국의 요임금 때에, 태평한 생활을 즐거워하여 불렀다고 함.
격양가(擊壤歌)[낙수가 27 페이지 / 전적]
풍년이 들어 농부가 태평한 세월을 즐기는 노래. 중국의 요임금 때 태평한 생활을 즐거워하여 불렀다고 함.
격양가(擊壤歌)[아림가(娥林歌) 12 페이지 / 전적]
풍년이 들어 농부가 태평한 세월을 즐기는 노래. 중국의 요임금 때에, 태평한 생활을 즐거워하여 불렀다고 한다.
격양가(擊壤歌)[태상감응편이라(상감응편이라) 40 페이지 / 전적]
옛날 중국(中國) 요임금 때 늙은 농부(農夫)가 땅을 치면서 천하(天下)가 태평(太平)한 것을 노래한 데서 온 말로 태평(太平)한 세월을 즐기는 노래.
격양가(擊壤歌)[연행별곡(연별곡) 30 페이지 / 전적]
옛날 중국(中國) 요임금 때 늙은 농부(農夫)가 땅을 치면서 천하(天下)가 태평(太平)한 것을 노래한 데서 온 말로 태평(太平)한 세월을 즐기는 노래.
격양가擊壤歌[ 1 페이지 / ]
요임금 때 농부가 길에서 땅을 두드리며, 천하는 평화롭고 백성은 무사함을 노래했다는 고사. 풍년가.일출이작 일입이식 日出而作 日入而息 착정이음경전이식 鑿井而飮 耕田而食 제하력어아재 帝何力於我哉
격언(格言)[추월감 7 페이지 / 두루마리]
오랜 역사적 생활 체험을 통하여 이루어진 인생에 대한 교훈이나 경계 따위를 간결하게 표현한 짧은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