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게서오랴[팔도가 19 페이지 / 전적]

어디서 오랴.

게유구월[용문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계유구월(癸酉九月). 계유년 9월.

게으내야[신행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거어 내다.

게첩(揭帖)[송강집(松江集一)1 146 페이지 / 전적]

일반에 알리는 지금의 비라와 같음.

게첩(揭帖)[백세보중(百世葆重 四)4 25 페이지 / 전적]

어떤 일에 관한 내용을 적어서 보고하는 공문서.

게츅연[상사곡이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계축년(癸丑年).

겨게함의 너허두고[효봉구고치산가 22 페이지 / 전적]

자개 함(函)에 넣어 두고.

겨런조도[셕별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가련조(可憐調)도. 가련한 곡조도.

겨를 없다[면앙정가(俛仰亭歌) 7 페이지 / 전적]

한가할 틈이 없다.

겨얼기면 추울시락[형제붕우소회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겨울이면 추울까.

겨여이[셔유곡 7 페이지 / 전적]

굳세게. 씩씩하게.

겨우 보아 알다가도[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115 페이지 / 전적]

「了了」―了는 曉解의 뜻인데 重言하면 了了가 된다。世說 言語에 「小時了了 大未必住」라 하였음。

겨울가야[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82 페이지 / 전적]

「歲寒凋」-論語 子罕篇에「歲寒然後 知松柏之後凋」라는 대문이 있는데 이 歲寒不變을 말한 것임.

겨울잠에 깨어난 생물 죽이지 않고, 한창 자라는 초목 꺾지 않음[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49 페이지 / 전적]

계칩불살(啓蟄不殺)을 이름, 방장부절(方長不折)을 이름.

겨집군 여와씨은[역대가라(역가라) 3 페이지 / 전적]

여자임금 여와씨(女媧氏)는. 여와씨는 옛날 여자 임금이며, 복희씨의 동생이다. 복희씨의 대를 이어 왕이 되었다. 생황(笙簧)을 잘 불었다고 한다.

격(格)[한양가라 21 페이지 / 전적]

주위 환경이나 형편에 자연스럽게 어울리는 분수나 품위.

격(格),치(致),성(誠),정(正),수(修),제(齊),치(治),평(平)[삼강오륜가 서 13 페이지 / 전적]

사서(四書)의 하나인 대학(大學)에서 이르는 여덟 가지의 수양 순서를 말함. 즉, 격물(格物),치지(致至),성의(誠意),정심(正心),수신(修身),제가(齊家),치국(治國),평천하(平天下) 등의 여덟 가지 조목.

격(格),치(致),성(誠),정(正),수(修),제(齊),치(治),평(平)[제면암최선생익현동업기비봉 1 페이지 / 전적]

사서(四書)의 하나인 대학(大學)에서 이르는 여덟 가지의 수양 순서를 말함. 즉, 격물(格物),치지(致至),성의(誠意),정심(正心),수신(修身),제가(齊家),치국(治國),평천하(平天下) 등의 여덟 가지 조목.

격격(激激)[석천집(石川集二-五)2-5 66 페이지 / 전적]

기세가 맹렬한 모양

격고안(擊鼓案)[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3 페이지 / 전적]

북을 치는 듯한 형상.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