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초록대단(草綠大緞)[두껍전이라(겁젼이라) 11 페이지 / 전적]
풀색이 나는 두꺼운 비단.
초록대단(草綠大緞)[죽엽가(쥭엽가) 11 페이지 / 전적]
풀색이 나는 두꺼운 비단.
초록수(初祿水)의 파(破)[송강집(松江集二)2 153 페이지 / 전적]
인방수(寅方水)를 이름.
초루(譙樓)[냥신낙사가(냥신낙가) 12 페이지 / 두루마리]
궁문, 성문 따위의 바깥문 위에 지은 다락집.
초루(譙樓)[냥신낙사가(냥신낙가) 12 페이지 / 두루마리]
궁문, 성문 따위의 바깥문 위에 지은 다락집.
초립(草笠)[남천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예전에, 주로 어린 나이에 관례를 한 사람이 쓰던 갓. 썩 가늘고 누런 빛깔이 나는 풀이나 말총으로 결어서 만들었음.
초립(草笠)[남천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예전에, 주로 어린 나이에 관례를 한 사람이 쓰던 갓. 썩 가늘고 누런 빛깔이 나는 풀이나 말총으로 결어서 만들었음.
초립동(草笠童)[한흥가라 103 페이지 / 전적]
초립둥이. 초립을 쓴 사내아이. 흔히 결혼한 사내아이를 이름.
초립동(草笠童)[동상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초립둥이. 초립을 쓴 사내아이.
초립동(草笠童)[쌍옥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초립둥이. 초립(草笠)을 쓴 사내아이.
초립동(草笠童)[후임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초립둥이. 초립을 쓴 사내아이. 흔히 결혼한 사내아이를 이름.
초립소년(草笠少年)[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8 페이지 / 전적]
어린 나이에 관례를 한 사람이 쓰던 갓으로 가늘고 누런 빛깔이 나는 풀이나 말총으로 엮어서 만들었음.
초립시운(草笠時運)[여자행신가 9 페이지 / 전적]
초립은 예전에, 주로 어린 나이에 관례를 한 사람이 쓰던 갓. 썩 가늘고 누런 빛깔이 나는 풀이나 말총으로 결어서 만들었음. 시운은 그 때의 운수.
초립시운(草笠時運)[여자행신가 9 페이지 / 전적]
초립은 예전에, 주로 어린 나이에 관례를 한 사람이 쓰던 갓. 썩 가늘고 누런 빛깔이 나는 풀이나 말총으로 결어서 만들었음. 시운은 그 때의 운수.
초립청포(草笠靑袍)[해동졍상국회방연(동졍상국회방연) 9 페이지 / 전적]
초립을 쓰고 청포를 입은 모습. 초립은 어린 나이에 관례를 한 사람이 쓰던 갓을 말하며, 청포는 조선 시대에 사품ㆍ오품ㆍ육품의 벼슬아치가 공복(公服)으로 입던 푸른 도포임.
초립청포(草笠靑袍)[뎡슝샹회방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관례(冠禮)를 치른 소년이 쓰던 갓과 조선 시대에, 사품ㆍ오품ㆍ육품의 벼슬아치가 공복(公服)으로 입던 푸른 도포.
초망(草莽)[오륜가라 23 페이지 / 전적]
풀이 난 들이라는 뜻으로, 궁벽한 시골을 이르는 말.
초망(草莽)[오륜가라 23 페이지 / 전적]
풀이 난 들이라는 뜻으로, 궁벽한 시골을 이르는 말.
초매[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10 페이지 / 전적]
‘치마’의 방언.
초면 인사(初面人事)[이별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처음으로 대하여 보면서 하는 이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