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초면(初面)[회초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처음 얼굴을 봄.
초면(初面)[북쳔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처음으로 대하여 봄.
초면수작(初面酬酌)[남매상별가라(남매별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술잔을 서로 주고받음.
초명(初明)[자탄가 10 페이지 / 두루마리]
이른 저녁의 빛.
초명하기[소동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총명(聰明하게). 재주 있고 영리하게.
초목 와석(草木瓦石)[권왕가 48 페이지 / 전적]
풀과 나무 그리고 아무런 가치도 업는 기와와 돌.
초목군생(草木群生)[노처녀가1(老處女歌 (一)) 5 페이지 / 전적]
풀과 나무 등 모든 생물.
초목군생(草木群生)[자탄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봄이 되어 초목이 싱싱하게 싹이 틈.
초목군생(草木群生)[교훈가 15 페이지 / 전적]
식물을 비롯한 살아 있는 모든 것들.
초목군생(草木群生)[안심가 2 페이지 / 전적]
식물을 비롯한 살아 있는 모든 것들.
초목군생(草木群生)[고분가 21 페이지 / 전적]
모든 생물.
초목군생(草木群生)[고분가 21 페이지 / 전적]
모든 생물.
초목금수(草木禽獸)[후원초당 봄이듯이 7 페이지 / 두루마리]
풀과 나무와 날짐승과 길짐승을 통틀어 이르는 말. 온갖 생물.
초목동부(草木同腐)[소상팔경가 25 페이지 / 전적]
초목과 함께 썩어 없어진다는 뜻으로, 사람이 하여야 할 일을 하지 못하고 세상을 떠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초목수(草木樹)[쳥츈상심곡(쳥츈심곡) 7 페이지 / 두루마리]
連理枝를 말함. 뿌리는 각기 다른 나무인데, 뻗은 가지가 서로 합하여 한 나무가 된 것.
초목장생(草木長生)[충효가(忠孝歌) 7 페이지 / 전적]
풀과 나무들이 잘 자람.
초문(初聞)[백발가(白髮歌) 1 페이지 / 전적]
어떤 일에 관하여 처음으로 들음.
초문(初聞)[백발가(白髮歌) 3 페이지 / 전적]
어떤 일에 관하여 처음으로 들음.
초미(焦尾)[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21 페이지 / 전적]
「焦尾」- 焦尾琴을 말함.後漢書에 『吳人이 梧桐나무로 밥을 짓는데, 薺邕이 火烈의 소리를 듣고 그 것이 良材임을 알고 그 토막을 얻어 거문고를 만들었든 바, 과연 美音을 發하였는데, 타고 남을 꼬리로 만든 것이라 하여 焦尾琴이라 하 였다.여기는 선생의 原稿가 타고 남은 것을 말함.
초민(焦憫)[시집간부녀의내칙가사(시집간부녀의칙가사) 4 페이지 / 두루마리]
속이 타도록 근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