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초옥일간[제주여행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일간초옥(一間草屋).한 칸 밖에 안 되는 작은 초가집.
초요구 게우하고[복션화음록 26 페이지 / 전적]
초요기(初療飢) 겨우하고. 초요기는 시장기를 면하기 위하여 끼니밥을 먹기 전에 조금 먹는 음식.
초요지를[효봉구고치산가 24 페이지 / 전적]
초요기(初療飢)를.
초우제(初虞祭)[환무자탄가 9 페이지 / 전적]
산소에서 장례를 끝내고 집에 돌아와서 지내는 제사.
초월(楚越) 간담(肝膽) 관포(管鮑)[ 1 페이지 / ]
중국 전국시대의 초나라와 월나라 사이. 원수와 같이 여기는 사이. 간과 쓸개. 중국의 관중과 포숙아(鮑叔牙). 두 사람의 우정이 퍽 두터웠다는 데서 아주 친한 친 구 사이의 사귐을 ‘관포지교(管鮑之交)’라 한다.
초월(楚越) 간담(肝膽) 관포(管鮑)[장연변씨세적(長淵邉氏世蹟) 93 페이지 / 전적]
중국 전국시대의 초나라와 월나라 사이. 원수와 같이 여기는 사이. 간과 쓸개. 중국의 관중과 포숙아(鮑叔牙). 두 사람의 우정이 퍽 두터웠다는 데서 아주 친한 친 구 사이의 사귐을 ‘관포지교(管鮑之交)’라 한다.
초월(楚越), 관포(管鮑)[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25 페이지 / 전적]
중국 전국시대의 초나라와 월나라 사이. 원수와 같이 여기는 사이, 중국의 관중과 포숙아(鮑叔牙). 두 사람의 우정이 퍽 두터웠다는 데서 아주 친한 친구 사이의 사귐을 ‘관포지교(管鮑之交)’라 한다.
초월(楚越),관포(管鮑)[자경별곡 16 페이지 / 전적]
중국 전국시대의 초나라와 월나라 사이. 원수와 같이 여기는 사이. 중국의 관중과 포숙아(鮑叔牙). 두 사람의 우정이 퍽 두터웠다는 데서 아주 친한 친 구 사이의 사귐을 ‘관포지교(管鮑之交)’라 함.
초월(楚越),관포(管鮑)[권학가 1 페이지 / 전적]
중국 전국시대의 초나라와 월나라 사이. 원수와 같이 여기는 사이. 중국의 관중과 포숙아(鮑叔牙). 두 사람의 우정이 퍽 두터웠다는 데서 아주 친한 친 구 사이의 사귐을 ‘관포지교(管鮑之交)’라 함.
초월강남기불용(楚越江南豈不容)[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70 페이지 / 전적]
초월 강남인들 어찌 용납하지 못하랴
초의인[팔역가(八域歌) 17 페이지 / 전적]
마의태자, 신라 56대 경순왕의 태자
초이경(初二更)[아림가(娥林歌) 35 페이지 / 전적]
초경과 이경을 아울러 이르는 말. 하룻밤을 다섯으로 등분하였을 때 그 첫 번째와 두 번째를 이른다.
초일(超逸)[경노의심곡 9 페이지 / 두루마리]
어떤 한도나 표준 따위를 벗어나거나 뛰어넘음.
초일(醮日)[규중여자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초례일(醮禮日).
초입(草笠)[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28 페이지 / 전적]
‘초갓’으로 주로 어린 나이에 관례를 한 사람이 쓰던 갓.
초입사(初入仕)[옥셜화답 12 페이지 / 전적]
처음으로 벼슬길에 오름.
초입사(初入仕)[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20 페이지 / 전적]
처음으로 벼슬을 함.
초입사(初入仕)[로인가 12 페이지 / 전적]
처음으로 벼슬을 함. 또는 그 벼슬.
초입사(初入仕)[김씨효행가 23 페이지 / 두루마리]
처음으로 벼슬을 함. 또는 그 벼슬.
초자(醮子)[혼례가(婚禮歌) 3 페이지 / 전적]
초(醮)는 초례.아들을 장가보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