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초야(草野)[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5 페이지 / 전적]
풀이 난 들이라는 뜻으로, 궁벽한 시골을 혹은 민간(民間)을 이르는 말.
초야(草野)[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2 페이지 / 전적]
풀이 난 들이라는 뜻으로, 궁벽한 시골을 혹은 민간(民間)을 이르는 말(草野).
초야(草野)[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5 페이지 / 전적]
풀이 난 들이라는 뜻으로, 궁벽한 시골을 혹은 민간(民間)을 이르는 말.
초야(草野)[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2 페이지 / 전적]
풀이 난 들이라는 뜻으로, 궁벽한 시골을 혹은 민간(民間)을 이르는 말(草野).
초야(草野)[충효가(忠孝歌) 14 페이지 / 전적]
들판. 조정에 대비하여 관청에 속하지 않은 땅.
초야인민(草野人民)[근농가(勤農歌) 3 페이지 / 전적]
궁벽한 시골에 사는 백성.
초야인민(草野人民)[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1 페이지 / 전적]
민간의 평범한 사람.
초야인민(草野人民)[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3 페이지 / 전적]
민간의 평범한 사람.
초야인민(草野人民)[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1 페이지 / 전적]
민간의 평범한 사람.
초야인민(草野人民)[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3 페이지 / 전적]
민간의 평범한 사람.
초야태평(草野太平)[해주졍씨목친가(주졍씨목친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궁벽한 시골 땅에도 걱정근심이 없이 평화로움.
초양왕(楚襄王)[상사진정몽가(相思陳情夢歌) 1 페이지 / 전적]
중국 초나라 회왕(懷王)의 아들. 이름은 횡(橫)이요, 시호는 경양(頃襄).
초어(楚語)[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11 페이지 / 전적]
「生男楚語」― 屈原의 橘頌에 「后皇嘉樹 橘㣣服兮 受命不遷 生南國兮」란 句가 있음.
초연(超然)드른[상사곡가사(상곡가사) 7 페이지 / 전적]
초연한 들은. 초연한 들에는.
초엽(草葉)[벌교사(벌교) 13 페이지 / 전적]
풀잎.
초엽주(草葉酒)[입추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풀과 열매로 담은 술.
초옥[ 1 페이지 / ]
草屋. 초가草家.
초옥(草屋)[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29 페이지 / 전적]
풀로 인 집.
초옥(草屋)[한양가라 66 페이지 / 전적]
풀로 얽어 만든 집.
초옥삼간(草屋三間)[해주졍씨목친가(주졍씨목친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초가집 세 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