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초민(焦憫)[시집간부녀의내칙가사(시집간부녀의칙가사) 4 페이지 / 두루마리]
속이 타도록 근심함.
초박[초원동낙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조박(粗薄). 거칢.
초박[초원동낙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조박(粗薄). 거칢.
초박(超薄)[남매상별가라(남매별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매우 얄팍하다.
초방(椒房)[송강집(松江集四)4 123 페이지 / 전적]
왕후(王后)가 있는 궁전(宮殿). 전(轉)하여 왕후의 칭호가 되었음. 漢官儀에 「皇后稱椒房」
초복(初服)[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76 페이지 / 전적]
「初服」- 服은 事의 뜻임.離騒에 「吾將後修吾初服」이란 구절이 있음.
초분(初分)[조심가라 24 페이지 / 전적]
사람의 평생을 셋으로 나눈 것의 처음 부분. 젊은 때의 운수나 처지를 이름.
초분(初分)[조심가라 24 페이지 / 전적]
사람의 평생을 셋으로 나눈 것의 처음 부분. 젊은 때의 운수나 처지를 이름.
초사(初仕)[후임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처음으로 벼슬함.
초사(楚些)[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45 페이지 / 전적]
「楚些」―楚辭 招魂의 句尾마다 些가 붙었기 때문에 楚些라 이름.
초사(楚辭)[권학가 4 페이지 / 전적]
중국 초(楚)나라 굴원(屈原)의 사부(辭賦)를 주로 하고, 그의 작풍을 이어받은 제자 및 후인의 작품을 모은 16권의 책. 본 가사 원문에서의 “楚詞”는 “楚辭”의 잘못 표기임.
초사부(楚些賦)[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六)6 121 페이지 / 전적]
「些章」-宋玉의 招魂賦를 말함。이 賦는 句마다 些로 끝맺었는데 宋玉은 그 스승 屈原이 罪없이 放逐되어 죽은 것을 슬퍼하며 魂魄이 離散하여 돌아오지 못할까 두려워서 지은 것임。
초산운우(楚山雲雨)[츄풍간별곡 차(츄풍간별곡 ) 13 페이지 / 전적]
초(楚)나라 양왕이 무산(巫山)에서 신녀와 만나 사랑을 나누었다는 데서 나온 고사로서, 남녀 간의 밀회나 정을 말함.
초산운우(楚山雲雨)[차운 14 페이지 / 전적]
초나라의 양왕이 무산에서 신녀와 만나 남녀의 사랑을 나누었다는 고사에서 온 말로, 남녀의 즐거움을 뜻하는 말로 쓰임.
초산운우(楚山雲雨)[상사가라 8 페이지 / 전적]
초나라의 양왕이 무산에서 신녀와 만나 남녀의 사랑을 나누었다는 고사에서 온 말로, 남녀의 즐거움을 뜻하는 말로 쓰임.
초산진산(楚山秦山)[초당춘수곡 4 페이지 / 전적]
남산 서산, 곧 모든 산.
초산진산(楚山秦山) 다백운(多白雲)하니[슈양가 4 페이지 / 전적]
초산과 진산에 흰구름이 많음. 당나라 문인인 이백(李白)의 시 「백운가(白雲歌)」의 한 구절.
초상(初喪)[거상제향가(居喪祭享歌) 5 페이지 / 전적]
사람이 죽어서 장사 지낼 때까지의 일.
초상(初喪)[거상제향가(居喪祭享歌) 6 페이지 / 전적]
사람이 죽어서 장사 지낼 때까지의 일.
초상(初喪) 삼상(三喪)[자책가(가) 9 페이지 / 전적]
집안에 사람이 죽는 일이 생기는 것. 또는 사람이 죽어서 장사를 지내기까지 일정한 기간 일정한 의례에 따라 일을 칠는 것. 삼년상(三年喪)의 준말. 또는, 초상(初喪) · 소상(小祥) · 대상(大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