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04개

탕탕공(蕩蕩空)[쟝한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하늘이 넓고 넓음. 여기서는 궁궐이 텅텅 비었다는 뜻.

탕패(蕩敗)[명륜가(明倫歌) 19 페이지 / 전적]

탕진함.

탕패(蕩敗)[이율곡선생권선가(李栗谷先生勸善歌) 8 페이지 / 전적]

탕진(蕩盡). 재물 따위를 다 써서 없앰.

탕패(蕩敗)[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56 페이지 / 전적]

탕진(蕩盡)과 같은 뜻으로 재물 따위를 다 써서 없앰.

탕패(蕩敗)[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6 페이지 / 전적]

가산을 탕진하여 실패함.

탕패(蕩敗)[옥단춘전이라 39 페이지 / 전적]

재물 따위를 다 써서 없앰. 탕진(蕩盡).

탕패산업(蕩敗産業)[교훈가 1 페이지 / 전적]

부모님께 물려받은 세업을 망침.

탕패산업(蕩敗産業)[창덕가2 20 페이지 / 전적]

생계를 이어갈 가업을 아주 망침.

탕패산업(蕩敗産業)[창덕가2 21 페이지 / 전적]

생계를 이어갈 가업을 아주 망침.

탕평채(蕩平菜)[춘몽가(츈몽가) 41 페이지 / 전적]

묵청포'를 달리 이르는 말.조선 영조 때에, 탕평책을 논하는 자리의 음식상에 처음 올랐다는 데서 유래.

탕평채(蕩平菜)[춘몽가(츈몽가) 41 페이지 / 전적]

묵청포'를 달리 이르는 말.조선 영조 때에, 탕평책을 논하는 자리의 음식상에 처음 올랐다는 데서 유래.

탕평책(蕩平策)[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42 페이지 / 전적]

조선조(朝鮮朝) 21대 영조(英祖)가 당쟁(黨爭)을 없애기 위(爲)하여 쓴 정책(政策). 당쟁(黨爭)의 해독(害毒)이 참담(慘澹)함을 깊이 느끼어 일당전단(一黨專斷)의 폐를 견제(牽制)하고 양반(兩班) 세력(勢力)의 균형(均衡)을 취함으로써 왕권(王權)의 탕탕평평(蕩蕩平平)을 꾀한 정책(政策). 정사(政事)의 시비(是非)를 논(論)하는 상소(上疏)를 금(禁)하고 노론(老論),소론(少論)을 아울러 써서 당파(黨派)의 조화(調和)에 힘썼음. 22대 정조(正

태(兌)[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24 페이지 / 전적]

남동 방향.

태(笞)맛기랄 셜려마라[정종대왕권학가(正宗大王勸學歌) 7 페이지 / 전적]

매 맞기를 서러워마라.

태갑(太甲)[역대가라(역가라) 6 페이지 / 전적]

상(商)나라 왕 성탕(成湯)의 손자 태종(太宗)을 말함. 처음 즉위하자 방탕하였기 때문에 이윤(伊尹)이 동(桐)으로 3년간 방출시켰다. 태갑이 개과천선하니 이윤이 다시 모셔와 정치를 맡기니, 제후들이 돌아오고 백성들이 편안한 생활을 할 수가 있었다.

태강(太姜)[녁대가(녁가) 19 페이지 / 전적]

고공단보의 아내로 현모양처의 거울임. 태강, 태임, 태사를 일컬어 ‘주실삼모(周室三母)’라고 함.

태계(台階)[송강집(松江集一)1 5 페이지 / 전적]

정승의 계급

태고(太古)[고분가 7 페이지 / 전적]

아주 먼 옛날.

태고(太古)[고분가 7 페이지 / 전적]

아주 먼 옛날.

태고(太高)하다[헌수가라 8 페이지 / 두루마리]

매우 높다.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