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04개

태방허(兌方虛)[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2 페이지 / 전적]

서방이 허(虛)하면.

태백 장길(太白 . 長吉)[송강집(松江集七)7 143 페이지 / 전적]

長吉 태백(太白)은 이백(李白)의 자(字)이고, 장길(長吉)은 이하(李賀)의 자(字).

태백(泰伯)[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23 페이지 / 전적]

「泰伯」- 周 太王의 長子인데, 王位를 세째아우 李歷에게 讓하기 위하여, 아우 仲雍과 더불어 荊蠻으로 도망가 斷髪文身하였음.그래서 孔子는 泰伯을 예찬하 여 至德이라 일컬었음.

태백(泰伯)[녁대가(녁가) 25 페이지 / 전적]

주(周) 나라 태왕(太王)의 장자(長子). 태왕이 그의 아우 계력(季歷)의 아들인 문왕(文王)에게 성덕(聖德)이 있음을 알고는 왕위를 계력에게 전하려 하자, 왕위를 아우 계력에게 양보하고서 형월(荊越)지방으로 피하여 은둔하였음.

태백산[화전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경상북도 봉화군과 강원도 삼척군 사이에 있는 태백산맥의 주봉으로 1,561m의 고산이다

태백산(太白山)[팔도안희가 5 페이지 / 전적]

강원도 태백시 남부에 있는 산으로 높이는 1,567m이다. 흰모래와 자갈이 쌓여 마치 눈이 덮인 것 같다 하여 태백산이라 불렀다고 하며, ‘크고 밝은 뫼’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태백산(太白山)[몽유가(몽류가) 10 페이지 / 전적]

경상북도 봉화군과 강원도 태백시 및 영월군 사이에 있는 산. 태백산맥의 주봉(主峯)임. 높이는 1,567미터.

태백산(太白山)[조심가라 13 페이지 / 전적]

백두산의 전 이름.

태백산(太白山)[몽유가(몽류가) 10 페이지 / 전적]

경상북도 봉화군과 강원도 태백시 및 영월군 사이에 있는 산. 태백산맥의 주봉(主峯)임. 높이는 1,567미터.

태백산(太白山)[조심가라 13 페이지 / 전적]

백두산의 전 이름.

태백산성(太白山城)[연행별곡(연별곡) 5 페이지 / 전적]

황해도 평산군 산성리 태백산에 있는 고구려 때의 돌성.

태백성(太白星)[몽즁운동가 8 페이지 / 전적]

저녁 무렵 서쪽 하늘에 보이는 ‘금성(金星)’을 이르는 말.

태변(太變)[일회심곡(一回心曲) 9 페이지 / 전적]

아주 많이 변함.

태봉(泰封)[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43 페이지 / 전적]

901년에 궁예가 송악에 도읍하여 세운 나라로 건국 당시 국호를 후고구려라 하였다가 905년에 도읍을 철원으로 옮기면서 국호를 태봉, 연호를 수덕만세(水德萬歲)라고 하였다.

태비[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177 페이지 / 전적]

태는 태평시대이고 비는 비색(否塞)한 시대를 뜻하는데, 「주역 (周易)」에 태괘(泰卦)와 비괘(否卦)가 있어 서로 왕래(往來)함을 말했다. 여기서는 장우가 성제를 도와 태로 이끌어야 하는데도 오히려 외척의 편에 있음을 비평한 것이다.

태사(今太)[사미인곡 4 페이지 / 전적]

덕과 교화가 높은 여인.

태사(太似)[황젼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주나라 문왕의 왕비.

태사(太史)[고봉선생문집 권이(高峰先生文集 券二) 130 페이지 / 전적]

사관(史官)을 지칭하는 말로「사기(史記)」의 저자인 사 마천(司馬遷)을 말한다.

태사(太史)[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30 페이지 / 전적]

중국에서 역사기록을 맡은 벼슬.

태사(太史)[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52 페이지 / 전적]

기록을 맡아 보던 벼슬아치.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