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04개

태도(太圖)[궁장가(宮墻歌) 11 페이지 / 전적]

태극도(太極圖)를 말한다.

태도(態度)[자탄가 9 페이지 / 두루마리]

몸의 동작이나 몸을 거두는 모양새.

태령(太嶺)[슈절자탄가 14 페이지 / 전적]

험하고 높은 고개.

태령(太嶺)[슈절자탄가 14 페이지 / 전적]

험하고 높은 고개.

태릉(泰陵)[한양가라 59 페이지 / 전적]

서울시 노원구에 있는 조선 중종의 계비 문정왕후윤씨의 능.

태만(怠慢)[통륜가(通倫歌) 11 페이지 / 전적]

해야 할 일을 하지 않고 게으름을 피움.

태맹한문(鮐黽捍門)[그리져리구경하고 30 페이지 / 전적]

늙은 맹꽁이가 문을 막고 있는 형상.

태묘(太廟)[셔유곡 8 페이지 / 전적]

종묘의 정전(正殿). 조선 시대에 역대 임금과 왕비의 위패를 모시던 사당으로, 초에는 목조, 익조, 탁조, 환조 등 태조의 사대조(四代祖) 신위를 모셨으나 그 후에는 당시 재위하던 왕의 사대조(四代祖)와 조선 시대 역대 왕 가운데 공덕이 있는 왕과 왕비의 신주를 모시고 제사를 지냄.

태묘인방(兌卯寅方)[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7 페이지 / 전적]

태방(兌方)은 서방, 묘방(卯方)은 동방, 인방(寅方)은 북쪽에 치우친 동북방이다.

태묘인방(兌卯寅方)[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7 페이지 / 전적]

태방(兌方)은 서방, 묘방(卯方)은 동방, 인방(寅方)은 북쪽에 치우친 동북방이다.

태묘인방(兌卯寅方)[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5 페이지 / 전적]

태방(兌方)은 서방, 묘방(卯方)은 동방, 인방(寅方)은 북쪽에 치우친 동북방이다.

태무(太戊)는 상곡(桑穀)이라는 요망한 나무가 나옴으로 인하여 국가가 부흥하였고[고봉선생문집 권이(高峰先生文集 券二) 89 페이지 / 전적]

태무는 고대 상(商) 나라의 현군(賢君)으로 묘호(廟號)는 중종(中宗)이며, 상곡(桑穀)은 뽕나무와 닥나무가 함께 붙어서 자라는 괴상한 나무라 한다. 상 나라의 수도인 박읍(亳邑)에 이 나무가 돋아나 하루 아침에 크게 자라자, 태무는 이 변괴에 두려움을 품고 재상 이척(伊陟)에게 물으니, 이척이‘요망한 것은 덕을 이기지 못하는 법이니, 아마도 군주의 정사에 잘못이 있어서 이러한 변괴가 나타났나 봅니다. 임금께서는 더욱 덕을 닦으소서.‘하였다. 태무가 그의 말대로 덕을 닦고 훌륭한 정사를 펴니, 그 나무는 곧 말라 죽었으며, 상나라는 다시 부흥되었다.《史記 卷三 殷本紀》

태무제(拓跋太武帝)[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六)6 145 페이지 / 전적]

「拓跋太武帝」-이름은 燾이니 北魏 太祖道武帝 拓跋珪의 孫임.

태반(太半)[한양가라 77 페이지 / 전적]

절반 이상.

태방(兌方)[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19 페이지 / 전적]

서쪽 방향.

태방(兌方)[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20 페이지 / 전적]

서쪽 방향.

태방(兌方)[구산가(求山歌) 5 페이지 / 전적]

팔방(八方) 하나. 정서(正西)를 중심(中心)으로 한 45°의 각거리(角距離)로 이룩되는 방향(方向).

태방(兌方)[호남비결(湖南秘訣) 10 페이지 / 전적]

팔방(八方)의 하나.정서(正西)를 중심으로 한 45°의 각거리(角距離)로 이룩되는 방향(方向).

태방허(兌方虛)[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4 페이지 / 전적]

서방이 허(虛)하면.

태방허(兌方虛)[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4 페이지 / 전적]

서방이 허(虛)하면.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