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039개

헌괵(獻馘)[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22 페이지 / 전적]

헌괵지례(獻馘之禮). 적과 싸워서 이겨 잘라온 적의 우두머리의 머리를 임금에게 바치던 예식.

헌괵(獻馘)[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22 페이지 / 전적]

헌괵지례(獻馘之禮). 적과 싸워서 이겨 잘라온 적의 우두머리의 머리를 임금에게 바치던 예식.

헌괵(獻馘)[대명복수가(명복수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헌괵지례(獻馘之禮). 적과 싸워서 이겨 잘라온 적의 우두머리의 머리를 임금에게 바치던 예식.

헌괵(獻馘)[대명복수가(명복수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헌괵지례(獻馘之禮). 적과 싸워서 이겨 잘라온 적의 우두머리의 머리를 임금에게 바치던 예식.

헌납(獻納)[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21 페이지 / 전적]

사간원에 속한 정오품 벼슬.

헌덕왕(憲德王)[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41 페이지 / 전적]

신라의 제41대 왕(?~826). 이름은 언승(彦昇). 조카인 애장왕을 죽이고 즉위하여 친당 정책을 폈다. 김헌창과 그 아들 범문(梵文)의 반란을 평정하고, 백영(白永)에게 명하여 패수에 300리나 되는 장성을 쌓게 하였다.

헌릉(獻陵)[한양가라 19 페이지 / 전적]

조선 3대 왕 태종과 정비 원경왕후민씨의 묘로 서울시 서초구 내곡동에 있다.

헌릉(獻陵)[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82 페이지 / 전적]

조선 태종과 비 원경 왕후의 능으로 서울특별시 서초구 내곡동에 있다.

헌말리라[앤여가(여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헛말이라.

헌부(軒父)[용문가라 7 페이지 / 전적]

헌헌장부(軒軒丈夫)의 준말인 듯.

헌사하여[면앙정가(俛仰亭歌) 7 페이지 / 전적]

야단스러워서.

헌성(獻誠)[이율곡선생권선가(李栗谷先生勸善歌) 4 페이지 / 전적]

정성을 다하여 바침.

헌성(獻誠)[론학가권지일 32 페이지 / 전적]

정성을 다하여 바침.

헌성(獻誠)[론학가권지일 32 페이지 / 전적]

정성을 다하여 바침.

헌성(誠)하고[사시풍경가라 16 페이지 / 전적]

헌성(獻誠)하고.정성을 다하여 바치고.

헌성법(獻誠法)[경화가(警和歌) 21 페이지 / 전적]

정성을 드리는 법.

헌성법(獻誠法)[경화가(警和歌) 21 페이지 / 전적]

정성을 드리는 법.

헌수(獻壽)[해동졍상국회방연(동졍상국회방연) 8 페이지 / 전적]

환갑잔치 등에서 주인공에게 장수를 비는 뜻으로 술잔을 올림.

헌수(獻壽)[냥신낙사가(냥신낙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환갑잔치 따위에서, 주인공에게 장수를 비는 뜻으로 술잔을 올림.

헌수(獻壽)[냥신낙사가(냥신낙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환갑잔치 따위에서, 주인공에게 장수를 비는 뜻으로 술잔을 올림.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