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혁노(赫怒)[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14 페이지 / 전적]
얼굴을 붉히며 화를 냄.
혁노(赫怒)[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14 페이지 / 전적]
얼굴을 붉히며 화를 냄.
혁노(赫怒)[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14 페이지 / 전적]
얼굴을 붉히며 화를 냄.
혁노(赫怒)[대명복수가(명복수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얼굴을 붉히며 화를 냄.
혁노(赫怒)[대명복수가(명복수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얼굴을 붉히며 화를 냄.
혁대(革帶)[사친가1(思親歌(一)) 7 페이지 / 전적]
가죽 띠 가죽으로 만든 띠.
혁대문장(赫代文章)[이십사룡입수(二十四龍入首) 20 페이지 / 전적]
시대를 빛낼 문장.
혁명(革命)[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05 페이지 / 전적]
천명(天命)이 바뀌다라는 뜻으로, ①기존 헌법(憲法)의 범위(範圍)를 벗어나서 국가(國家)의 기초(基礎), 사회(社會)의 제도(制度), 경제(經濟)의 조직(組織) 등을 급격(急激)하게 근본적(根本的)으로 고치는 일 ②어떤 사회적(社會的) 분야(分野)에서, 기존의 관습(慣習)ㆍ양식(樣式)ㆍ이념(理念) 따위를 근본적(根本的)으로 바꾸는 일 ③예전의 왕통을 뒤집고 다른 왕통이 통치자(統治者)가 되는 일 ④피지배(被支配) 계급(階級)이 지배(支配) 계급(階級)
혁사(革絲)[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4 페이지 / 전적]
革絲」- 禮內則에「南鞶革 女鞶絲」라 하였는데 䟽에「鞶은 小囊인데 帨巾(손수건)을 담은 것임. 이小囊을 南은 韋로 만들고女는 繒帛으로 만든다는 말이다」하였음.
혁신(革新)[추월감 5 페이지 / 두루마리]
묵은 풍속, 관습, 조직, 방법 따위를 완전히 바꾸어서 새롭게 함.
혁우장(?于墻)에 불상용(不相容)[명륜가(明倫歌) 78 페이지 / 전적]
담장 안에서 다툼에 서로 용서하지 못함.
혁혁(赫赫)[육십회갑가사 2 페이지 / 두루마리]
빛나는 모양.
혁혁(赫赫)[한양가라 47 페이지 / 전적]
빛이 밝게 빛나다.
혁혁(赫赫)[복션화음이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매우 두드러짐.
혁혁(赫赫)[상방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빛나는 모양.
혁혁(赫赫)하다[셩경가 3 페이지 / 전적]
빛 따위가 밝게 빛나다.
혁혁(赫赫)하다[셩경가 3 페이지 / 전적]
빛 따위가 밝게 빛나다.
혁혁하다[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25 페이지 / 전적]
공로나 업적 등이 뚜렷하다.
현[팔역가(八域歌) 49 페이지 / 전적]
청송인, 조선 문인 심현
현가(絃歌)[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60 페이지 / 전적]
「絃歌」―絃歌로 다스린다는 말임. 論語 陽貨篇에 「子之武城聞絃歌之聲 莞爾而笑 曰割鷄焉用牛刀」라 하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