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039개

헌수(獻酬)[녁대가(녁가) 42 페이지 / 전적]

술잔을 올림.

헌수상(獻壽床)[헌수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환갑잔치를 위해 차린 상.

헌수석(獻壽席)[헌수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환갑잔치 등에서 장수를 비는 뜻으로 올리는 헌수를 받는 자리.

헌수석(獻壽席)[헌수가(헌슈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환갑잔치 주인공에게 장수를 비는 뜻으로 술잔을 올리는 자리.

헌수석(獻壽席)[환행가 11 페이지 / 두루마리]

환갑연에 주인공에게 장수를 비는 뜻으로 술잔을 올리는 자리.

헌수석(獻壽席)[환행가 11 페이지 / 두루마리]

환갑연에 주인공에게 장수를 비는 뜻으로 술잔을 올리는 자리.

헌수석(獻壽席)[헌수가(헌슈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환갑잔치 주인공에게 장수를 비는 뜻으로 술잔을 올리는 자리.

헌수잔(獻壽盞)[뎡슝샹회방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환갑잔치(還甲--) 같은 때 오래 살기를 비는 뜻으로 잔에 술을 부어서 드리는 잔.

헌수차(獻酬次)[기수가 4 페이지 / 전적]

잔을 올리기 위해.

헌수축경(獻壽祝慶)[헌수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장수를 비는 술잔을 올리며, 경사를 축하함.

헌신(獻身)[경영가라 9 페이지 / 두루마리]

몸과 마음을 바쳐 있는 힘을 다함.

헌안왕(憲安王)[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42 페이지 / 전적]

신라의 제47대 왕(?~861). 이름은 의정(誼靖)ㆍ우정(祐靖). 제방을 쌓아 농사를 장려하였으며, 후사가 없어 왕족 응렴(膺廉)을 사위로 삼고 왕위를 물려주었다.

헌애왕후(獻哀王后)[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51 페이지 / 전적]

고려 경종의 비(妃)(964~1029)이다. 목종의 생모로 목종이 즉위하자 섭정하면서 김치양과 통정하고 아들을 낳았는데, 후에 이 아들 때문에 강조의 정변이 일어나 섬으로 유배되었다.

헌언(獻讞)[송강집(松江集一)1 131 페이지 / 전적]

옥사(獄事)를 반복 논의하여 상주(上奏)한다는 뜻.

헌옥(賢玉)[송강집(松江集二)2 206 페이지 / 전적]

남의 아들을 칭함.

헌원(軒轅)[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40 페이지 / 전적]

「軒轅」―黃帝軒轅氏를 말함. 역시 上古의 帝임.

헌원(軒轅)[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25 페이지 / 전적]

「軒轅」- 黃帝軒轅氏인데 古代 三皇의 一임.

헌원(軒轅)[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47 페이지 / 전적]

「軒轅」- 黃帝 軒轅氏를 말한 것임 見上.

헌원씨(軒轅氏)[역대가라(역가라) 4 페이지 / 전적]

황제(黃帝)의 이름이다. 소전(小典)의 아들이고 성(姓)은 공손(公孫)이다.

헌원씨(軒轅氏)[오륜가라 6 페이지 / 전적]

헌원씨, 즉 황제(黃帝)는 중국의 국가 형성과 관련된 신화에 나타나는 삼황오제(三皇五帝) 가운데 하나이다. 삼황오제(三皇五帝)와 관련된 전설은 여러 계통이 있으며 민간전승이나 문헌에 따라 다양한 해석이 있다. 하지만 신농(神農), 복희(伏羲), 여와(女媧)를 삼황(三皇)으로, 황제(黃帝)·전욱(顓頊)·제곡(帝嚳)·요(堯)·순(舜)을 오제(五帝)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