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홍안소부(紅顔少婦)[자탄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얼굴이 아름다운 젊은 여인.
홍안유부(紅顔幼婦)[헌수가라 11 페이지 / 두루마리]
젊은 부인.
홍안유부(紅顔幼婦)[헌수가라 11 페이지 / 두루마리]
젊은 부인.
홍양(弘羊)[석천집(石川集二-三)2-3 106 페이지 / 전적]
상홍양(桑弘羊). 한(漢)나라 무제(武帝) 때 사람으로 치속도위(治粟都尉)가 되어 나라의 염철(鹽鐵)을 다 관리했고, 평준법(平準法)을 만들어 나라를 풍요롭게 했다.
홍언필(洪彦弼)[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08 페이지 / 전적]
조선 중기의 문신(1476~1549). 자는 자미(子美). 호는 묵재(默齋). 갑자사화 때에 유배당하였다가 중종반정으로 풀려났으며, 기묘사화 때에 다시 투옥되었으나 조광필(趙光弼)의 변호로 풀려나 여러 벼슬을 지냈다.
홍역(紅疫)[여행록이라(여녹이라) 5 페이지 / 전적]
홍역 바이러스가 비말 감염에 의하여 일으키는 급성 전염병.1~6세의 어린이에게 많고 봄철에 많음.잠복기는 약 10일로, 감기와 비슷한 증상으로 시작하여 입안 점막에 작은 흰 반점이 생기고 나중에는 온몸에 좁쌀 같은 붉은 발진이 돋음.한 번 앓으면 다시 걸리지 않음.
홍영식(洪英植)[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56 페이지 / 전적]
구한말의 문신(1855~1884). 자는 중육(仲育). 호는 금석(琴石). 박영효, 김옥균 등과 독립당을 조직하고, 이듬해 우정국의 낙성식을 계기로 갑신정변을 일으켜 혁신 내각의 우의정이 되었으나, 삼일천하로 끝나고 대역 죄인으로 몰려 처형되었다.
홍예문(虹霓門)[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23 페이지 / 전적]
홍문관(弘文館)을 잘못 쓴 것으로 보임.
홍요변(紅蓼邊)[차운 11 페이지 / 전적]
붉은 여뀌꽃이 무성하게 피어 있는 물가.
홍요화변(紅蓼花邊)에 백노비(白鷺飛)라[죽엽가(쥭엽가) 12 페이지 / 전적]
붉은 여뀌꽃 옆에서 백로는 날리라.
홍요화변(紅蓼花邊)에 백노비(白鷺飛)라[어부사 퇴계(어부퇴계 ) 2 페이지 / 전적]
붉은 여뀌꽃 옆에서 백로는 날리라.
홍원(洪原)[북쳔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함경남도 홍원군.
홍원읍(洪原邑)[북쳔가 9 페이지 / 두루마리]
함경남도 홍원군에 있는 읍.
홍유(洪儒)[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47 페이지 / 전적]
고려시대의 무신(武臣)이자 고려 개국공신중의 한명이다. 회인 홍씨의 시조이며, 태조의 제26비 의성부원부인 홍씨의 아버지이다. 무장 출신임에도 불구하고 언변과 논리가 매우 뛰어났으며, 폭군 궁예를 몰아내기위한 거사를 일으킬 당시 태조를 설득하여 혁명을 완수하고 그를 임금으로 옹립한 장본인이다.
홍유(鴻儒)[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55 페이지 / 전적]
「鴻儒」-鴻은 大의 뜻인데 즉 큰선비라는 말임. 劉禹錫의 陋室銘에「往來無白丁 誤笑有鴻儒」라 했음.
홍유후(弘儒侯)[석천집(石川集二-四)2-4 75 페이지 / 전적]
新羅때 薛聰의 諡號.
홍은헤[용문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홍은혜택(鴻恩惠澤). 큰은혜와 덕택.
홍의 농상[사향곡(향곡) 9 페이지 / 전적]
홍의녹상(紅衣綠裳)의 오기.붉은 저고리 녹색 치마를 뜻함.
홍의도[팔역가(八域歌) 37 페이지 / 전적]
신안군 홍도
홍익한(洪翼漢)[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19 페이지 / 전적]
조선 인조 때의 문신(1586~1637)으로 병자호란 때 삼학사의 한 사람. 척화론(斥和論)을 주장하여 중국 청나라 선양(瀋陽)에 붙잡혀 갔으나 끝내 뜻을 굽히지 않고 죽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