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039개

홍익한(洪翼漢)[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35 페이지 / 전적]

조선 인조 때의 문신(1586~1637). 자는 백승(伯升). 호는 화포(花浦)ㆍ운옹(雲翁). 삼학사의 한 사람으로, 병자호란 때에 척화론을 주장하여 중국 청나라 선양(瀋陽)에 붙잡혀 갔으나 끝내 뜻을 굽히지 않고 죽었다.

홍인한(洪麟漢)[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45 페이지 / 전적]

조선 영조 때의 문신(1722~1776). 자는 정여(定汝). 당시의 세손이었던 정조와 사이가 좋지 않아 벽파에 가담하여 세손의 즉위를 반대하다가, 정조 즉위 후 유배되어 처형되었다.

홍장(紅粧)[북쳔가 39 페이지 / 두루마리]

연지 따위로 붉게 하는 화장.

홍장(紅粧)[반졀퓨리 5 페이지 / 전적]

연지로 붉게 한 화장.

홍장고사(紅粧古事)[관동별곡 14 페이지 / 전적]

강릉 기생 홍장에 대한 옛 일. 고려 우왕 때 강원감사 박신이 홍장을 사랑하다가 임기가 만료되어 떠나려 할 제, 부사 조운휼이 경포호수에 놀잇배를 갖추고 홍장을 선녀로 꾸며서 박신을 현혹하게 했다는 일화. 서거정의 『동인시화(東人詩話)』에 일화가 실려 전함.

홍재룡(洪在龍)[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52 페이지 / 전적]

조선 후기의 문신(1794∼1863)으로 1835년 증광문시에 병과로 급제하였으며, 익풍부원군(益豊府院君)에 봉하였음.

홍제원[상사곡이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홍제원(弘濟院). 병원 이름인 듯함.

홍제원(洪濟院)[한양가라 15 페이지 / 전적]

조선시대 때 중국 사신들이 서울 성안에 들어오기 전에 임시로 묵던 공관으로 현재 서울시 서대문구 홍제동이다.

홍종(洪鐘)[회혼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큰 종.

홍종우(洪鍾宇)[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61 페이지 / 전적]

구한말 수구파의 정객(政客)(1854~?). 김옥균을 중국 상하이(上海)로 유인하여 암살하고, 황국 협회를 조직하고 보부상을 동원하여 독립 협회의 활동을 방해하였다.

홍죽(紅竹)[셔유곡 10 페이지 / 전적]

용설란과의 상록 관목. 높이는 1~3미터이며 잎은 뭉쳐나고 피침 모양. 여름에 줄기 끝에 흰색 또는 자주색의 통꽃이 원추(圓錐) 화서로 피고 관엽 식물로 많은 품종이 재배되고 있음. 인도와 열대 아시아가 원산지임.

홍중(弘中)[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83 페이지 / 전적]

「弘中屋」-未詳함 待考

홍진(紅塵)[옥셜화답 11 페이지 / 전적]

햇빛에 비치어 벌겋게 일어나는 티끌. 번거롭고 속된 세상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홍진(紅塵)[로인가 16 페이지 / 전적]

번거롭고 속된 세상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홍진(紅塵)[개화별곡이라 14 페이지 / 전적]

거마(車馬)가 일으키는 먼지. 번거롭고 속된 세상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홍진(紅塵)[북쳔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햇빛에 비치어 벌겋게 일어나는 티끌을 뜻하는 말로 번거롭고 속된 세상을 비유적으로 이른다.

홍진두역(紅疹痘疫)[오륜도덕가(五倫道德歌) 6 페이지 / 전적]

마마병과 두창

홍진두역(紅疹痘疫)[명륜가(明倫歌) 16 페이지 / 전적]

홍역과 천연두.

홍진자맥(紅塵紫陌)[사친곡 10 페이지 / 전적]

뭇 사람들이 모여 사는 도성의 거리.

홍진자맥(紅塵紫陌)[원유가 7 페이지 / 전적]

번화한 도성의 거리.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