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홍상(紅裳)[사미인곡 8 페이지 / 전적]
붉은 치마.
홍상(紅裳)[북쳔가 19 페이지 / 두루마리]
붉은 치마.
홍상(紅裳)[군산월애원가(군월원가) 13 페이지 / 전적]
붉은 치마.
홍상나의(紅裳羅衣)[선유가라 9 페이지 / 전적]
붉은 치마와 얇은 비단으로 만든 옷.
홍샹을 니믜고[ 1 페이지 / ]
홍상(紅裳. 붉은 치마)을 걷어 올려 차고.
홍서봉(洪瑞鳳)[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34 페이지 / 전적]
조선 인조 때의 문신(1572~1645). 자는 휘세(輝世). 호는 학곡(鶴谷). 1623년에 인조반정에 가담하여 병조 참의가 되고, 병자호란 때에 최명길과 함께 화의를 주장하였다.
홍선(紅扇)[고분가 5 페이지 / 전적]
붉은 색깔의 부채.
홍선(紅扇)[고분가 5 페이지 / 전적]
붉은 색깔의 부채.
홍수도천(洪水滔天)[알성가(謁聖歌) 34 페이지 / 전적]
홍수로 물이 하늘에까지 가득참
홍순언(洪純彦)[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19 페이지 / 전적]
1530년(중종 25)∼1598년(선조 31). 본관은 남양(南陽). 조선 선조 때의 한어역관으로 아버지는 증 가선대부 홍겸이다.
홍술해(洪述海)[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26 페이지 / 전적]
홍술해(洪述海, 1722∼1777)
홍술해(洪述海)[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45 페이지 / 전적]
1750년(영조 26) 사마시에 합격해 진사가 되었다. 1759년(영조 35)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상시봉원도감(上諡封園都監)의 감조관(監造官)이 된 다음 정언·지평·수찬 등을 거쳐, 1761년 사간이 되었다. 1763년 북도감진어사(北道監賑御史)로 다녀와 병사 이방좌(李邦佐)의 탐학상을 보고하고 엄벌할 것을 건의해 양양(襄陽)에 10년 간 유배를 보냈다. 이어서 부응교·응교 등을 거쳐, 1764년 교리가 되었다. 그 뒤 승지를 거쳐 장연현안핵어사가
홍슬(紅虱)[흥기도덕가(興起道德歌) 33 페이지 / 전적]
붉은 이. 벌레.
홍안(紅顔)[윤낭자영남가(윤낭영남가) 7 페이지 / 전적]
붉은 얼굴. 사람의 인생에서 혈색이 좋아 얼굴이 붉게 보이는 시절 즉 젊은 시절을 말함.
홍안(紅顔)[당산조션가 4 페이지 / 전적]
붉은 얼굴, 젊어서 혈색이 좋음.
홍안(紅顔)[복션화음이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붉은 얼굴이라는 뜻으로, 젊어서 혈색이 좋은 얼굴을 이름.
홍안(紅顔)[회혼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붉은 얼굴이라는 뜻으로, 젊어서 혈색이 좋은 얼굴을 이르는 말.
홍안(紅顔)[허후전가라 7 페이지 / 두루마리]
붉은 얼굴이라는 뜻으로, 젊어서 혈색이 좋은 얼굴을 이르는 말.
홍안(紅顔)[조선국퇴정문수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붉고 윤색이 나는 얼굴.혈색이 좋은 얼굴.
홍안(紅顔)[별한가 32 페이지 / 전적]
붉은 얼굴이라는 뜻으로, 젊어서 혈색이 좋은 아름다운 얼굴을 이르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