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039개

후피면[앤여가(여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후피체면(後避體面)으로 이해된다. (남자이기 때문에) 뒤에 부끄러운 체면을 회피할 수 있지만.

후환(後患)[잣치가라(치라) 32 페이지 / 전적]

어떤 일로 말미암아 뒷날 생기는 걱정과 근심.

후환(後患)[소상팔경가 14 페이지 / 전적]

어떤 일로 말미암아 뒷날 생기는 걱정과 근심.

후환(後患)[자치가 16 페이지 / 전적]

어떤 일로 말미암아 뒷날 생기는 걱정과 근심.

후황[석천집(石川集二-二)2-2 96 페이지 / 전적]

토지의 신인 후토(后土)와 황천을 가리킨다.

후회막급(後悔莫及)[백발가(白髮歌) 7 페이지 / 전적]

이미 잘못된 뒤에 아무리 후회하여도 다시 어찌할 수가 없음.

후회막급(後悔莫及)[백발가(白髮歌) 9 페이지 / 전적]

이미 잘못된 뒤에 아무리 후회하여도 다시 어찌할 수가 없음.

후리 회정이[형제붕우소회가라 9 페이지 / 두루마리]

후래(後來)의 회정한(懷情恨)이. 뒤 따르는 회포와 정한이.

후[상사곡이라 5 페이지 / 두루마리]

후생(後生). 다음 생애.

훈(塤)[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05 페이지 / 전적]

「塤篪」- 塤과 篪는 다 樂器의 이름인데, 소리가 서로 잘 어울린다. 詩經 小雅 何人斯에 「伯氏吹壎 仲氏吹篪」라 하였으므로 兄弟의 和睦을 일컬어 壎篪라 함. 壎은 塤과 通用함.

훈계(訓戒)[ 1 페이지 / ]

타일러서 경계하는 것. 또는, 그 말.

훈계(訓戒)[장연변씨세적(長淵邉氏世蹟) 91 페이지 / 전적]

타일러서 경계하는 것. 또는, 그 말.

훈계(訓戒)[추월감 4 페이지 / 두루마리]

타일러서 잘못이 없도록 주의를 줌.

훈계(訓戒)[이율곡선생권선가(李栗谷先生勸善歌) 4 페이지 / 전적]

타일러서 잘못이 없도록 주의를 줌.

훈계(訓戒)[긔수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타일러서 잘못이 없도록 주의를 줌. 또는 그런 말.

훈계(訓戒)[망부가 15 페이지 / 전적]

타일러서 잘못이 없도록 주의를 줌.

훈기(薰氣)[사친가2(思親歌(二)) 9 페이지 / 전적]

훈훈한 기운.

훈기(薰氣)[신힁가라 10 페이지 / 전적]

훈훈한 기운.

훈기(訓記)[효행가(효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가르침을 기록하다.

훈기(訓記)[효행가(효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가르침을 기록하다.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