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훈도(薰陶)[청년남녀훈계가 6 페이지 / 전적]
덕으로써 사람의 품성이나 도덕 따위를 가르치고 길러 선으로 나아가게 함.
훈도(薰陶)[청년남녀훈계가 6 페이지 / 전적]
덕으로써 사람의 품성이나 도덕 따위를 가르치고 길러 선으로 나아가게 함.
훈련대장(訓練大將)[팔도안희가 21 페이지 / 전적]
훈련도감(訓練都監)의 대장(大將)으로 조선시대 대표적 무관직의 하나로 조선 초기 오위(五衛) 기능이 유명무실해지면서 비로소 각 군영에 최고 책임 지휘관(종이품)으로 배치되었다.
훈령(訓令)[심심가(尋心歌) 3 페이지 / 전적]
상급 관청에서 하급 관청을 지휘ㆍ감독하기 위하여 명령을 내림. 또는 그 명령.
훈령(訓令)[심심가(尋心歌) 3 페이지 / 전적]
상급 관청에서 하급 관청을 지휘ㆍ감독하기 위하여 명령을 내림. 또는 그 명령.
훈민(訓民)[김대비훈민가(김비훈민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백성을 가르침.
훈민가(訓民歌)[명륜가(明倫歌) 10 페이지 / 전적]
조선 선조 때 송강(松江) 정철(鄭澈)이 1580년에 지은 시조(時調)로 경민가(警民歌)라고도 하며 16수로 되어 있는데, 삼강오륜(三綱五倫)의 유교적 윤리가 그 내용임.
훈민정음(訓民正音)[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75 페이지 / 전적]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는 뜻으로, 1443년에 세종이 창제한 우리나라 글자를 이르는 말이다.
훈사(訓辭)[회경가 2 페이지 / 전적]
타일러서 잘못이 없도록 경계하는 말
훈신(勳臣)[한양가라 18 페이지 / 전적]
나라와 임금을 위해 공을 세운 신하.
훈유(薰蕕)[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六)6 169 페이지 / 전적]
「薰蕕」-左傳 僖公四年에「一薰一蕕 十年尙蕕有臭」라 했는데 註에 「薰은 香草요 蕕는 臭草인데 十年有臭란 말은 善은 消滅되기 쉽고 惡은 除去하기 어려움을 이름이다」하였음.
훈육(燻肉)[자치가라 20 페이지 / 두루마리]
불을 피워 그 연기로 구운 고기.
훈일분고 지을부이[계녀사라 3 페이지 / 전적]
내용 미상.
훈적(勳籍)[송강집(松江集五)5 84 페이지 / 전적]
공신들의 공적을 기록한 문적
훈지(壎篪)[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六)6 120 페이지 / 전적]
「壎箎」-모두 樂器인데 損箎로 쓰기도 함。詩 小雅何人斯에 「佰氏吹壎 仲氏吹箎」라는 句가 있으므로 後世에 흔히 兄弟和睦의 稱으로 씀。
훈척대신(勳戚大臣)[ 1 페이지 / ]
훈(勳)은 훈구(勳舊)이며 척(戚)은 외척(外戚)으로 명종의 외숙인 윤원형(尹元衡)을 가리킨 것이다.
훈척대신(勳戚大臣)[고봉선생문집 권삼(高峰先生文集 券三) 105 페이지 / 전적]
훈(勳)은 훈구(勳舊)이며 척(戚)은 외척(外戚)으로 명종의 외숙인 윤원형(尹元衡)을 가리킨 것이다.
훈풍(薰風)[옥설가라 21 페이지 / 전적]
초여름에 부는 훈훈한 바람.
훈훈(薰薰)셰린[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21 페이지 / 전적]
훈훈한 정이 서린.
훈다[앤여가(여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훈계(訓戒)한다. 타이르고 가르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