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2,070개

녹잎[별교사(별교) 2 페이지 / 두루마리]

푸른 풀잎이나 나뭇잎.

녹존(祿存)[구산가(求山歌) 5 페이지 / 전적]

풍수지리에서 산의 모양을 구성(九星)에 비유하는데 녹존은 이의 셋째별. 구성-탐랑성, 거문성, 녹존성, 문곡성, 염정성, 무곡성, 파군성, 좌보성, 우필성.

녹주(綠珠)[석천집(石川集二-四)2-4 113 페이지 / 전적]

『金谷』은 中國 晉나라 石崇의 別莊인 金谷園,『綠珠』는 石崇의 愛妓.

녹주(綠珠)[녁대가(녁가) 53 페이지 / 전적]

중국 서진(西晉) 시대에 항해와 무역으로 큰 부자가 되었던 석숭(石崇)의 애첩. 석숭은 녹주(綠珠)를 총애하여 백장(百丈) 높이의 누각을 지었다고 함.

녹주갈건(漉酒葛巾)[매창월가(梅牕月歌) 2 페이지 / 전적]

갈건으로 술을 걸르고.

녹죽(綠竹)[춘몽가(츈몽가) 15 페이지 / 전적]

친구(親舊) 사이의 정분(情分)과 같은 우호국.

녹죽(綠竹)[춘몽가(츈몽가) 14 페이지 / 전적]

푸른 대나무.

녹팔월(綠八月)[자치가 28 페이지 / 전적]

푸른 8월.

녹평신세백구심(綠萍身世白鷗心)을[어부사 퇴계(어부퇴계 ) 4 페이지 / 전적]

푸른 부평초 같은 이 신세, 흰 갈매기와 같은 마음을

녹하(麓下)[그리져리구경하고 9 페이지 / 전적]

산 기슭 아래.

논개[팔역가(八域歌) 30 페이지 / 전적]

전북 장수 출신의 주논개

논개(論介)[한흥가라 63 페이지 / 전적]

구전에 의하면 양반가의 딸이었으나, 아버지 주달문이 사망하고 집안에 어려움이 겹쳐 가산을 탕진하자 장수현감이었던 최경회(崔慶會)의 후처가 되었다고 한다. 최경회가 진주성 2차 전투에서 전사하자, 이에 복수하기 위해 기생으로 위장하고 왜장(倭將) 게야무라 로구스케([毛谷村六助])를 끌어안고 남강으로 투신했다고 한다. 그런데 논개와 함께 남강으로 떨어진 왜장이 게야무라 로구스케인지에 대해 명확한 근거는 아직 없다.

논개(論介)[한흥가라 63 페이지 / 전적]

구전에 의하면 양반가의 딸이었으나, 아버지 주달문이 사망하고 집안에 어려움이 겹쳐 가산을 탕진하자 장수현감이었던 최경회(崔慶會)의 후처가 되었다고 한다. 최경회가 진주성 2차 전투에서 전사하자, 이에 복수하기 위해 기생으로 위장하고 왜장(倭將) 게야무라 로구스케([毛谷村六助])를 끌어안고 남강으로 투신했다고 한다. 그런데 논개와 함께 남강으로 떨어진 왜장이 게야무라 로구스케인지에 대해 명확한 근거는 아직 없다.

논개(論介)[한흥가라 63 페이지 / 전적]

구전에 의하면 양반가의 딸이었으나, 아버지 주달문이 사망하고 집안에 어려움이 겹쳐 가산을 탕진하자 장수현감이었던 최경회(崔慶會)의 후처가 되었다고 한다. 최경회가 진주성 2차 전투에서 전사하자, 이에 복수하기 위해 기생으로 위장하고 왜장(倭將) 게야무라 로구스케([毛谷村六助])를 끌어안고 남강으로 투신했다고 한다. 그런데 논개와 함께 남강으로 떨어진 왜장이 게야무라 로구스케인지에 대해 명확한 근거는 아직 없다.

논개(論介)[한양가라 62 페이지 / 전적]

조선 선조 때의 의기(義妓)로 임진왜란 때에 진주성이 함락되자 촉석루의 술자리에서 당시 왜장(倭將)을 껴안고 남강에 떨어져 죽었다.

논개(論介)[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20 페이지 / 전적]

조선 선조 때의 의기(義妓)(?~1593). 진주의 관기(官妓)로, 임진왜란 때에 진주성이 함락되자 촉석루의 술자리에서 당시 왜장(倭將)이었던 게야무라 후미스케(毛谷村文助)를 껴안고 남강에 떨어져 죽었다.

논개(論介, ?-1593)[팔도안희가 6 페이지 / 전적]

임진왜란 때의 의기(義妓)로 전북 장수 출신으로 전한다. 일본군이 진주성을 유린하고 수많은 양민을 학살하는 등의 만행을 저지른 것에 의분한 논개는 왜장들이 촉석루에서 벌인 주연에 기녀로서 참석하여 술에 만취한 왜장 게야무라 후미스케[毛谷村文助]를 껴안고 남강에 뛰어들어 함께 죽었다. 이때부터 논개가 떨어졌던 바위를 의암(義巖)이라 부른다.

논나주[앤여가(여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나누어주되. 나눠주되.

논박(論駁)[고분가 26 페이지 / 전적]

어떤 주장이나 의견에 대하여 그 잘못된 점을 조리 있게 공격하여 말함.

논박(論駁)[고분가 26 페이지 / 전적]

어떤 주장이나 의견에 대하여 그 잘못된 점을 조리 있게 공격하여 말함.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