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2,070개

논사(論思)[송강집(松江集三)3 34 페이지 / 전적]

홍문관(弘文舘)을 이름.

논사(論思)[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29 페이지 / 전적]

「論思」-論辯 思慮의 略稱임. 韓非子六反에 『此不熟於論思 詐而誣也 故明主不受也』라 하였고 文選 班因의 兩都賦序에 『朝夕論思 日月獻納』이라는 구절이 있음.

논소(論䟽)[이회심곡(二回心曲) 3 페이지 / 전적]

부처의 말씀에 대한 풀이와 주석을 논한 글.

논어(論語[인여가(引轝歌) 5 페이지 / 전적]

유교 경전인 사서(四書)의 하나. 공자와 그의 제자들의 언행을 적은 것으로, 공자 사상의 중심이 되는 효제(孝悌)와 충서(忠恕) 및 ‘인(仁)’의 도(道)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음. 7권 20편.

논어(論語[인여가(引轝歌) 5 페이지 / 전적]

유교 경전인 사서(四書)의 하나. 공자와 그의 제자들의 언행을 적은 것으로, 공자 사상의 중심이 되는 효제(孝悌)와 충서(忠恕) 및 ‘인(仁)’의 도(道)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음. 7권 20편.

논어(論語[인여가(引轝歌) 5 페이지 / 전적]

유교 경전인 사서(四書)의 하나. 공자와 그의 제자들의 언행을 적은 것으로, 공자 사상의 중심이 되는 효제(孝悌)와 충서(忠恕) 및 ‘인(仁)’의 도(道)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음. 7권 20편.

논어(論語)[옥설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유교 경전인 사서(四書)의 하나. 공자와 그의 제자들의 언행을 적은 것으로, 공자 사상의 중심이 되는 효제(孝悌)와 충서(忠恕) 및 ‘인4’(仁)의 도(道)에 대하여 설명. 7권 20편.

논유(論由)[후원초당 봄이듯이 2 페이지 / 두루마리]

이유를 말함.

논재(論財)[근혼가(謹婚歌) 3 페이지 / 전적]

재물을 논함.

논전(論戰)[헌수가라 13 페이지 / 두루마리]

논쟁.

논전(論戰)[헌수가라 13 페이지 / 두루마리]

논쟁.

논척(論斥)[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88 페이지 / 전적]

옳고 그름을 따져 물리침.

논척(論斥)[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14 페이지 / 전적]

옳고 그름을 따져 물리침.

놀란 뱀[석천집(石川集二-一)2-1 10 페이지 / 전적]

懷素의 草書는 놀란 뱀이 풀에 들어간 듯하다고 했다

놀랍게도 들사슴이 궁안의 꽃을 입에 물었읍니다[송강집(松江集三)3 28 페이지 / 전적]

오(吳)나라 망한 후 그 궁전터에서 들사슴이 꽃을 따먹었으므로 나라가 망한 것을 의미함.

놀음[황젼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놀음놀이’와 같은 말로 여러 사람이 모여서 즐겁게 노는 일.

놀음[남여동락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놀이.

놀음[남여동락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놀이.

놀음[남여동락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놀이.

놀음[남여동락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놀이.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