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2,070개

농씨(農氏)[션화안논새가(션화안논가) 1 페이지 / 전적]

신농씨(神農氏)를 나타내는 말.중국(中國)의 옛 전설(傳說)에 나오는 제왕(帝王).삼황(三皇)의 한 사람.성(姓)은 강(姜).인신 우수(人身牛首).화덕(火德)으로써 임금이 된 까닭에 염제(炎帝)라고 일컬으며, 백성(百姓)에게 농사(農事)짓는 법을 가르쳤으므로 신농씨라 일컬음.의료(醫療)ㆍ악사(樂師)의 신, 또 8괘(卦)를 겹쳐서 64괘를 만들어 역자(易者)의 신 주조(鑄造)와 양조(釀造) 등(等)의 신이 되고, 교역의 법을 가르쳐 상업(商業)의 신으로도 되어 있음.신농(神農).복희씨(伏羲氏).

농암[팔역가(八域歌) 27 페이지 / 전적]

조선 문인 이현보

농암정(籠巖亭)[팔도안희가 10 페이지 / 전적]

농암정의 실재 여부는 분명치 않으나 고운 최치원(孤雲 崔致遠, 857-?)의 <제가야산독서당(題伽倻山讀書堂)>을 통해 농암정의 의미를 알 수 있다. “첩 바위 사이를 미친 듯 달려 겹겹 봉우리 울리니[狂奔疊石吼重巒]/지척에서 하는 말소리도 분간키 어려워라[人語難分咫尺間]/늘 시비하는 소리 귀에 들릴세라[常恐是非聲到耳]/짐짓 흐르는 물로 온 산을 둘러버렸다네[故敎流水盡籠山]” 위 시에서 최치원은 세상의 시비에서 자유롭고 싶은 마음을 농암(籠巖)에 빗대어

농어회[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50 페이지 / 전적]

「江東膾」―張翰의 鱸膾蓴羹을 말함.

농염濃艶[ 1 페이지 / ]

아주 요염함.

농옥선녀(弄玉仙女)[쳥츈상심곡(쳥츈심곡) 3 페이지 / 두루마리]

소사(簫史)로부터 배운 퉁수로, 부른 봉황을 타고 선녀가 된 농옥

농옥소(弄玉簫)[회경가 3 페이지 / 전적]

진목공(秦穆公)이 딸 농옥의 베필로 삼고자 했던 소사(蕭史)의 퉁소(簫)를 말함. 소사는 진목공에게 봉황을 불러 춤을 추게 한다는 봉황곡을 연주했다고 함.

농와지경(弄瓦之慶)[여행록이라(여녹이라) 5 페이지 / 전적]

딸을 낳은 즐거움.중국에서 딸을 낳으면 흙으로 만든 실패를 장난감으로 주었다는 데서 유래함.

농용팔정(農用八政)[권농가(권롱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농사를 다스리는 데 8가지 정책을 말하는 것으로 『주서(周書)』홍범편(洪範篇)에 나온다.

농용팔정(農用八政)[권농가(권롱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농사를 다스리는 데 8가지 정책을 말하는 것으로 『주서(周書)』홍범편(洪範篇)에 나온다.

농우(農牛)[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4 페이지 / 전적]

농사일에 부리는 소.

농우(農牛)[아림가(娥林歌) 30 페이지 / 전적]

농사일에 부리는 소.

농월(弄月)[죽엽가(쥭엽가) 7 페이지 / 전적]

달을 바라보고 즐김.

농장(弄璋)[송강집(松江集二)2 193 페이지 / 전적]

사람이 아들을 낳았을 때 축하하며 쓰는 말. 詩經 小雅 斯干篇에「乃生男 子載寢之床載衣之裳載弄之璋」

농장(弄璋)[리행소챙가 46 페이지 / 전적]

.

농장(弄璋)[리행소챙가 49 페이지 / 전적]

아들을 낳음.

농장(弄璋)[칠여가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농장지경(弄璋之慶)의 준말. 아들을 낳은 즐거움.

농장지경(弄璋之慶)[환행가 31 페이지 / 두루마리]

아들을 낳은 즐거움. 예전에, 중국에서 아들을 낳으면 규옥(圭玉)으로 된 구슬의 덕을 본받으라는 뜻으로 구슬을 장난감으로 주었다는 데서 유래함.

농장지경(弄璋之慶)[환행가 31 페이지 / 두루마리]

아들을 낳은 즐거움. 예전에, 중국에서 아들을 낳으면 규옥(圭玉)으로 된 구슬의 덕을 본받으라는 뜻으로 구슬을 장난감으로 주었다는 데서 유래함.

농정(農丁)[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15 페이지 / 전적]

농사짓는 남자.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