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놈안난아라[복션화음록 18 페이지 / 전적]
높이 알게 되느니라.
놉픈뫼[ 1 페이지 / ]
높은 산에. ‘뫼‘는 산의 뜻이다.
놋대[자책가(가) 23 페이지 / 전적]
노(櫓). 물을 해쳐 배를 나아가게 하는 기구.
놋반[동상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놋으로 만든 쟁반.
농(籠)[벽천가 11 페이지 / 전적]
버들채나 싸리채 등으로 함같이 만들어 종이로 바른 상자. 옷이나 물건을 넣어 두는 데 쓴다.
농(籠)[허후전가라 7 페이지 / 두루마리]
버들채나 싸리채 따위로 함같이 만들어 종이로 바른 상자로 옷이나 물건을 넣어 두는 데 사용한다.
농공(農功)[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24 페이지 / 전적]
농사짓는 일.
농권(弄權)[조심가라 9 페이지 / 전적]
권력을 마음대로 함부로 씀.
농권(弄權)[조심가라 9 페이지 / 전적]
권력을 마음대로 함부로 씀.
농근(農勤)[노정가라(노졍기라) 17 페이지 / 전적]
농사일.
농량(農糧)[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11 페이지 / 전적]
농사를 짓는 동안 먹을 양식.
농량(農糧)[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29 페이지 / 전적]
농사를 짓는 동안 먹을 양식.
농령瓏玲[ 1 페이지 / ]
영롱영롱. 흐르는 물소리가 구슬을 굴리는 듯 맑고 깨끗하게 들리는 것의 비유
농리(農理)[충효가(忠孝歌) 32 페이지 / 전적]
농사일하는 데 있어 이치를 말한다.
농문(籠門)[한양가라 69 페이지 / 전적]
옷 등을 넣어두는 농의 문.
농부[석천집(石川集二-四)2-4 67 페이지 / 전적]
原文의 蘿葍主는 무를 기르는 主人 즉 農夫.
농부가(農夫歌)[사친가1(思親歌(一)) 5 페이지 / 전적]
농사꾼이 모를 심거나 김을 맬 때에 부르는 상사소리.
농사집설(農事集設)[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83 페이지 / 전적]
농사직설(農事直說)을 이르는 것, 조선 세종 11년(1429)에 정초 등이 지은 농서이다. 각 도(道)의 관찰사가 경험 많은 농부들에게서 들은 농사에 관한 지식을 모아 엮었다. 오늘날 전하는 가장 오래된 농서이며, 우리말로 된 곡식 이름을 향찰과 이두로 적었다. 1책.
농서자(隴西子)[석천집(石川集二-三)2-3 14 페이지 / 전적]
농서행(隴西行). 악부의 거문고 곡조명.
농씨(農氏)[서양예수재자말삼(서양예수자말삼) 5 페이지 / 전적]
신농씨(神農氏)를 나타내는 말.중국(中國)의 옛 전설(傳說)에 나오는 제왕(帝王).삼황(三皇)의 한 사람.성(姓)은 강(姜).인신 우수(人身牛首).화덕(火德)으로써 임금이 된 까닭에 염제(炎帝)라고 일컬으며, 백성(百姓)에게 농사(農事)짓는 법을 가르쳤으므로 신농씨라 일컬음.의료(醫療)ㆍ악사(樂師)의 신, 또 8괘(卦)를 겹쳐서 64괘를 만들어 역자(易者)의 신 주조(鑄造)와 양조(釀造) 등(等)의 신이 되고, 교역의 법을 가르쳐 상업(商業)의 신으로도 되어 있음.신농(神農).복희씨(伏羲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