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목석불부(木石不付)[명륜가(明倫歌) 59 페이지 / 전적]
목석불부(木石不傅)라고도 하며, ‘나무에도 돌에도 붙일 때가 없다’는 뜻으로, ‘가난하고 고단(孤單)하여 의지할 곳이 없는 처지’를 이름.
목성(木星)[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3 페이지 / 전적]
태양(太陽)에서 다섯째로 가까운 최대 혹성(惑星). 세성(歲星), 태성(太星).
목식(木食)[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68 페이지 / 전적]
「木食」―果實을 따먹고 산다는 말임 晋書庾衮傳에「固窮安陋木食山捿」라는 말이 있음
목안[석천집(石川集二-五)2-5 8 페이지 / 전적]
장자(莊子)에 나오는 우화로써 쓸모 있음과 쓸모 없음의 사이를 일컬음. 곧 나무는 쓸모 있는 것은 베어지고, 기러기는 반대로 잘 울지 못하는 놈이 먼저 죽게 됨에서 나온 말
목야(牧野)[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81 페이지 / 전적]
「牧野」- 紂의 군사와 會戰한 곳임 詩經 大明에 「殷商之旅 其會如林 矢于牧野」라 하였음.
목야(牧野)[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40 페이지 / 전적]
「牧野」-地名인데 武王이 紂와 싸워 滅亡시킨 곳임.
목야(牧野)[역대가라(역가라) 6 페이지 / 전적]
은(殷)나라 남쪽 지명. 주(周) 나라 무왕(武王)이 은나라 주왕(紂王)의 군대를 토벌하던 곳.
목어대(木魚黛)[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18 페이지 / 전적]
산의 형상.
목엽(木葉)[기원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나뭇잎
목엽(木葉)[선유가라 6 페이지 / 전적]
나뭇잎.
목욕[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七)7 41 페이지 / 전적]
論語 先進에 보이는 曾點의 말인데 위에 나타나 있음.
목욕수(沐浴水)[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36 페이지 / 전적]
십이협태(十二脇胎)의 하나.
목욕수(沐浴水) 탓이로다[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11 페이지 / 전적]
목욕(沐浴) 방향에 물이 있음.
목인(睦?)[ 1 페이지 / ]
육행(六行) 중의 두 가지. 즉, 친족과의 화목과 외척과의 친목.
목인(睦?)[장연변씨세적(長淵邉氏世蹟) 95 페이지 / 전적]
육행(六行) 중의 두 가지. 즉, 친족과의 화목과 외척과의 친목.
목장(木杖)[벽천가 31 페이지 / 전적]
상례에서 상제가 짚는 나무 지팡이. 어머니의 상사(喪事)임을 나타낸다. 여기서는 나무로 만든 장대를 가리킴.
목저(牧猪)[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74 페이지 / 전적]
「牧猪」-牧猪奴의 畧語인데 賭博하는 무리에 대한 鄙稱임. 晋書陶侃傳에『樗蒲者 牧猪奴戱耳』라 했음. 朱熹詩에『只恐分陰閒過了 更敎人笑牧猪奴』라는 句가 보임.
목전 경계(目前境界)[권왕가 39 페이지 / 전적]
눈앞의 경계. 경계(境界) : 인과응보(因果應報)에 따라 자기가 놓이게 되는 처지.
목전(目前)[초한가라 10 페이지 / 전적]
눈앞, 지금.
목전(目前)[셩경가 5 페이지 / 전적]
눈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