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모피(謀避)[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48 페이지 / 전적]

피하려고 꾀를 냄, 또는 그렇게 하여 피함.

모한(侮寒)[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4 페이지 / 전적]

추위에 아랑곳 않음.

모함(謀陷)[태상감응편이라(상감응편이라) 38 페이지 / 전적]

꾀를 써서 남을 어려움에 빠뜨림.

모함(謀陷)[연행별곡(연별곡) 28 페이지 / 전적]

꾀를 써서 남을 어려움에 빠뜨림.

모합심리(貌合心離)[신도가(臣道歌) 6 페이지 / 전적]

교제(交際)하는 데 겉으로만 친(親)한 척할 뿐이고, 마음은 딴 데 있음.

모해(謀害)[일회심곡(一回心曲) 6 페이지 / 전적]

꾀를 써서 남을 해침.

모해(謀害)[태상감응편이라(상감응편이라) 10 페이지 / 전적]

꾀를 써서 남을 해(害)침.

모해(謀害)[합강정가(合江亭歌) 14 페이지 / 전적]

꾀를 써서 남을 해(害)침.

모해(謀害)[녁대가(녁가) 12 페이지 / 전적]

꾀를 써서 남을 해침.

모해(謀害)[녁대가(녁가) 28 페이지 / 전적]

꾀를 써서 남을 해침.

모현(母賢)[거취가(去取歌) 5 페이지 / 전적]

어머니가 어질고 현명함.

모홀(帽笏)[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6 페이지 / 전적]

모자에 달린 방울.

모홀석(帽笏石)[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19 페이지 / 전적]

길쭉하게 생긴 바윗돌.

모화관(慕華館)[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12 페이지 / 전적]

조선시대 중국 사신을 영접한 곳.

모화관(慕華館)[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12 페이지 / 전적]

조선시대 중국 사신을 영접한 곳.

모화관(慕華館)[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12 페이지 / 전적]

조선시대 중국 사신을 영접한 곳.

모화관(慕華館)[대명복수가(명복수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조선시대 중국 사신을 영접한 곳.

모화관(慕華館)[대명복수가(명복수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조선시대 중국 사신을 영접한 곳.

모화관(慕華館)[한흥가라 17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중국 사신을 영접하던 곳.

모화관(慕華館)[한흥가라 17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중국 사신을 영접하던 곳.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