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목탁(木鐸)[송강집(松江集三)3 22 페이지 / 전적]
나무로 만든 큰 방울. 고대(古代)에 문사(文事) 및 법령(法令)을 발(發) 할 때 쳤음. 전(轉)하여 세인(世人)을 교도하는 자를 이름. 論語 八佾篇에「天將以夫子爲木鐸」
목탁(木鐸)[서양예수재자말삼(서양예수자말삼) 6 페이지 / 전적]
①절에서 불공(佛供)이나 예불이나 경을 읽을 때 또는 식사(食事)와 공사(工事) 때에 치는 불구(佛具).나무로 파서 넓적 둥그스름하게 만듦.목어(木漁) ②세상(世上) 사람을 가르쳐 바로 이끌 만한 사람이나 기관(機關) 등(等)을 가리키는 말.
목탁(木鐸)[션화안논새가(션화안논가) 2 페이지 / 전적]
①절에서 불공(佛供)이나 예불이나 경을 읽을 때 또는 식사(食事)와 공사(工事) 때에 치는 불구(佛具).나무로 파서 넓적 둥그스름하게 만듦.목어(木漁) ②세상(世上) 사람을 가르쳐 바로 이끌 만한 사람이나 기관(機關) 등(等)을 가리키는 말.
목탁木鐸[거사가 3 페이지 / 전적]
독경이나 염불을 할 때, 또는 사람을 모이게 할 때 두드리는 물건.
목탁쟁정(木鐸錚鉦)[거사가 4 페이지 / 전적]
목탁과 징. 이에 대한 가사 원문의 표기는 ‘목탁쟁증’으로 되어 있음.
목피(木皮)[궁장가(宮牆歌) 5 페이지 / 전적]
공자의 제자.
목피(木皮)[궁장가(宮牆歌) 5 페이지 / 전적]
공자의 제자.
목피(木皮)[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44 페이지 / 전적]
나무의 껍질.
목피자(牧皮子)[붕우츠회곡 3 페이지 / 두루마리]
목피자(牧皮子)
목피자(牧皮子)[도덕구가 3 페이지 / 전적]
목피자(牧皮子)
목하(目下)[답사향곡(답향곡) 6 페이지 / 전적]
눈앞의 형편 아래.바로 지금.곧
목호룡(睦虎龍)[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41 페이지 / 전적]
조선 후기 경종 때의 지관(地官). 신임사화의 빌미를 제공했다. 1722년 소론에 가담, 노론 김창집 등이 경종 시해를 역모하였다고 고변했다. 이에 4대신을 비롯한 노론이 숙청되었다.
목화산(木火山)이 곤괘(坤卦)[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32 페이지 / 전적]
택수인(澤水因).
목후(沐猴)[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59 페이지 / 전적]
「沐猴」― 獼猴임. 項羽가 關中을 버리고 東歸하고자 하니 說者는 말하기를 「人言礎人沐猴而冠耳 果然」이라 했음.
몬여[셕별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모녀의 잘못된 표기.
몬여와 형숙질[형제붕우소회가라 13 페이지 / 두루마리]
못내와 형제숙질. 못내 형제숙질이.
몰각자(沒覺者)[창덕가2 10 페이지 / 전적]
깨닫지 못한 사람.
몰각자(沒覺者)[창덕가2 10 페이지 / 전적]
깨닫지 못한 사람.
몰계(沒階)를 다 하시는[사군가(事君歌) 6 페이지 / 전적]
층계를 다 내려서서는.
몰몰(沒沒)한 지각자는[도덕가 3 페이지 / 전적]
아주 몰지각한 사람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