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목불시악색(目不視惡色)[도덕가 5 페이지 / 전적]
눈으로 악한 빛을 보지 않음.
목불시악색(目不視惡色)[흥비가 1 페이지 / 전적]
눈으로 악한 빛을 보지 않음.
목불식정(目不識丁)[민탄가(民歎歌) 9 페이지 / 전적]
일자무식(一字無識).
목불인견(目不忍見)[자탄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눈앞에 벌어진 상황 따위를 눈뜨고는 차마 볼 수 없음.
목사(牧使)[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51 페이지 / 전적]
고려 시대에, 지방 행정 단위의 하나인 목에 파견되던 지방관.
목산(木山)[ 1 페이지 / ]
목산은 담양군 월산면의 옛이름인데 고면高面으로 불리다가 월산月山으로 고쳐 졌다
목산(木山)에 이괘(離卦)[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41 페이지 / 전적]
풍천소축괘(風天小蓄卦).
목산감괘(木山坎卦)[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6 페이지 / 전적]
주역의 괘 이름.목산갑(木山甲)을 풀이하면 뇌산소과괘(雷山小過卦).
목산태괘(木山兊卦)[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12 페이지 / 전적]
목산(木山)의 태괘(兌卦).
목삼삼(嘉木森森)[낙지가 8 페이지 / 전적]
나무숲이 울창함.
목상납(木上納)[거창가 16 페이지 / 전적]
공부(貢賦)를 무명이나 광목으로 납부하던 일.
목상납(木上納)[거창가 16 페이지 / 전적]
공부(貢賦)를 무명이나 광목으로 납부하던 일.
목상납(木上納)[아림가(娥林歌) 21 페이지 / 전적]
공부(貢賦)를 무명이나 광목으로 납부하던 일.
목생화(木生火)[구궁환정구구가(九宮還定九九歌) 4 페이지 / 전적]
음양오행설에서 나무에서 불이 생긴다는 뜻으로 이르는 말.'목(木)'과 '화(火)'가 어울린다는 뜻이다.
목석(木石)[츅친서라 5 페이지 / 전적]
나무와 돌을 아울러 이르는 말로 나무나 돌처럼 아무런 감정도 없는 사람을 비유하기도 한다.
목석(木石)[상사진정몽가(相思陳情夢歌) 2 페이지 / 전적]
나무와 돌. 또는, 나무나 돌과 같이 감정이 없는 사람의 비유.
목석간장(木石肝腸)[자탄가 11 페이지 / 두루마리]
나무나 돌처럼 아무런 감정도 없는 마음씨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목석간장(木石肝腸)[환무자탄가 6 페이지 / 전적]
나무나 돌처럼 아무런 감정이 없는 마음씨를 비유한 말.
목석간장(木石肝腸)[형제붕우소회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나무나 돌처럼 아무런 감정도 없는 마음씨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목석간[앤여가(여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목석간장(木石肝腸). 나무나 돌처럼 아무 감정이 없는 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