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무한사(說盡心中無限事)[추풍감별곡(秋風感別曲) 9 페이지 / 두루마리]
마음속 숱한 사연 모두 털어 놓음. 한 여인의 한 많은 사연을 듣고 지었다는 백거이(白居易)의 비파행(琵琶行)의 한 구절.
무한정수(無限定愁)[츄풍간별곡 차(츄풍간별곡 ) 15 페이지 / 전적]
무한한 수심.
무한창회(無限暢懷)[사향곡(향곡) 11 페이지 / 전적]
무한히 답답한 마음속의 회포를 헤쳐 열어서 시원하게 함.
무함을[석천집(石川集二-二)2-2 10 페이지 / 전적]
은나라의 어진 신하인데, 중종 때의 재상이라고도 한다. <<초사>> <이소(離騷)>에서 ‘무함이 장차 저녁에 내려오네.[巫咸將夕降兮]‘라고 하였다. 그 주(注)에 ‘무함은 옛날 신무(神巫)인데, 은나라 중종 때에 내려왔다.‘고 하였다.
무향(婺鄕)[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七)7 125 페이지 / 전적]
朱子의 先鄕인 婺源을 말함. 婺源이 梁陳의 時代에는 新安郡이 되었으므로 朱子의 署款이 新安을 多稱하였음.
무현금(無絃琴)[매창월가(梅牕月歌) 2 페이지 / 전적]
줄 없는 거문고.
무협(巫峽)[석촌별곡 5 페이지 / 전적]
중국 사천성 무산현의 동쪽에 있는 협곡 이름. 서릉협(西陵峽), 구당협(瞿塘峽)과 더불어 삼협(三峽)이라 일컬어진다.
무협(巫峽)[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49 페이지 / 전적]
「巫峽」― 蜀의 三峽은 즉 巫峽, 瞿唐峽 明月峽인데 水勢가 가장 埈急하여 四月, 五月은 더욱 險하다. 그러므로 行者는 노래하기를 「灔預大如牛 瞿唐不可留 灔預大如馬 瞿唐不可下」라 했음.
무형무적(無形無迹)[로인가 9 페이지 / 전적]
모양도 없고 자취도 없음.
무황후(武皇后)[조심가라 38 페이지 / 전적]
측천무후(則天武后). 중국 당나라 고종의 황후. 성은 무(武). 이름은 조(曌). 중국 역사에서 유일한 여제(女帝)로 고종을 대신하여 실권을 쥐고, 두 아들을 차례로 제왕의 자리에 오르게 하였으며, 스스로 제왕의 자리에 올라 국호를 주(周)로 고치고 성신 황제(聖神皇帝)라 칭하였음.
무황후(武皇后)[조심가라 38 페이지 / 전적]
측천무후(則天武后). 중국 당나라 고종의 황후. 성은 무(武). 이름은 조(曌). 중국 역사에서 유일한 여제(女帝)로 고종을 대신하여 실권을 쥐고, 두 아들을 차례로 제왕의 자리에 오르게 하였으며, 스스로 제왕의 자리에 올라 국호를 주(周)로 고치고 성신 황제(聖神皇帝)라 칭하였음.
무회씨(無懷氏)[경춘곡 5 페이지 / 전적]
중국의 태고적 제왕.
무회씨(無懷氏)[경춘곡 5 페이지 / 전적]
중국의 태고적 제왕.
무효(無效)[군산월애원가(군월원가) 16 페이지 / 전적]
효용이 없음.
무효(無效)[남산동이진사효행록(남동이진효횡녹) 2 페이지 / 전적]
효용이 없음.
무후(無后)[그리져리구경하고 18 페이지 / 전적]
후사(後嗣)가 없음.
무후(無后)[이십사룡입수(二十四龍入首) 26 페이지 / 전적]
후손이 없다.
무후(無后)[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67 페이지 / 전적]
대(代)를 이어갈 자손이 없음.
무후(無后)[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13 페이지 / 전적]
대(代)를 이을 자손이 없음
무후(無後)[오륜가라 22 페이지 / 전적]
대(代)를 이어갈 자손이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