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문묵(文墨)[옥셜화답 9 페이지 / 전적]

시문을 짓거나 서화를 그리는 일.

문문공(朱文公)[사친가1(思親歌(一)) 8 페이지 / 전적]

중국 송(宋)나라의 주희(朱熹)를 말함. 앞에 든 주 ‘주희(朱熹)’ 참조. 칠석부(七夕賦) : 칠석(七夕)을 두고 노래한 부시(賦詩). 칠석(七夕) : 음력 칠월 초이렛날의 밤. 이날 밤에 견우성과 직녀성이 오작교에서 만 난다고 함.

문문산(文文山)[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8 페이지 / 전적]

중국 남송의 정치가이자 시인인 문천상(文天祥). 송나라가 원나라에 항복하자 저항하다 체포되었고 쿠빌라이칸이 그의 재능을 아껴 몽고에 전향을 권유했지만 끝내 거절하고 죽음을 택함.

문문산(文文山)[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8 페이지 / 전적]

중국 남송의 정치가이자 시인인 문천상(文天祥). 송나라가 원나라에 항복하자 저항하다 체포되었고 쿠빌라이칸이 그의 재능을 아껴 몽고에 전향을 권유했지만 끝내 거절하고 죽음을 택함.

문문산(文文山)[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8 페이지 / 전적]

중국 남송의 정치가이자 시인인 문천상(文天祥). 송나라가 원나라에 항복하자 저항하다 체포되었고 쿠빌라이칸이 그의 재능을 아껴 몽고에 전향을 권유했지만 끝내 거절하고 죽음을 택함.

문문산(文文山)[대명복수가(명복수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남송의 정치가이자 시인인 문천상(文天祥). 송나라가 원나라에 항복하자 저항하다 체포되었고 쿠빌라이칸이 그의 재능을 아껴 몽고에 전향을 권유했지만 끝내 거절하고 죽음을 택함.

문문산(文文山)[대명복수가(명복수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남송의 정치가이자 시인인 문천상(文天祥). 송나라가 원나라에 항복하자 저항하다 체포되었고 쿠빌라이칸이 그의 재능을 아껴 몽고에 전향을 권유했지만 끝내 거절하고 죽음을 택함.

문물(門物)[환행가 19 페이지 / 두루마리]

문중의 물건.

문물(門物)[환행가 19 페이지 / 두루마리]

문중의 물건.

문물(門物)[기원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문중의 물건.

문박기 나와서[형제붕우소회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문밖에 떠나와서.

문밧서[앤여가(여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문 밖에서.

문방으로[남여동락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원문 밑 부분이 찢겼다가 다시 붙인 것으로 판단되는데, 소장자가 잘못 붙이고 덧쓴 것으로 판단되며, 한 줄씩 당겨져 있어 뜻이 이상하게 됐음. 이를 바로 잡으면 다음과 같다. 뉴대정◆ 좋으◆◆ 노름한번 못해◆◆ 구주심친 우◆동유 부러울사 남자로다 만고문장 이태백은 관산에서 공◆하야 도제천하 한ㅌ지난 타신북두 문방으로

문방으로[남여동락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원문 밑 부분이 찢겼다가 다시 붙인 것으로 판단되는데, 소장자가 잘못 붙이고 덧쓴 것으로 판단되며, 한 줄씩 당겨져 있어 뜻이 이상하게 됐음. 이를 바로 잡으면 다음과 같다. 뉴대정◆ 좋으◆◆ 노름한번 못해◆◆ 구주심친 우◆동유 부러울사 남자로다 만고문장 이태백은 관산에서 공◆하야도제천하 한ㅌ지난 타신북두 문방으로

문벌(門閥)[노처녀가1(老處女歌 (一)) 5 페이지 / 전적]

가벌(家閥). 대대로 내려오는 가문의 사회적 지체.

문벌(門閥)[로인가 10 페이지 / 전적]

대대로 내려오는 그 집안의 사회적 신분이나 지위.

문벌(門閥)[고분가 6 페이지 / 전적]

대대로 내려오는 그 집안의 사회적 신분이나 지위.

문벌(門閥)[고분가 6 페이지 / 전적]

대대로 내려오는 그 집안의 사회적 신분이나 지위.

문벌가사(門閥歌辭)[창덕가2 79 페이지 / 전적]

동학가사.

문벌가사(門閥歌辭)[창덕가2 80 페이지 / 전적]

동학가사.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