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묵최(墨衰)[송강집(松江集三)3 119 페이지 / 전적]
먹물색 최복.
묵툭(冒頓)[북쳔가 12 페이지 / 두루마리]
흉노의 선우로 북방을 통일하여 흉노제국을 세운 인물.
묵특[북쳔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오랑캐족의 하나로 알려짐.
묵특[팔도가 9 페이지 / 전적]
중국 흑룡강성 살던 종족 이름.
묵특[팔도가 9 페이지 / 전적]
중국 흑룡강성 살던 종족 이름.
문[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24 페이지 / 전적]
「剝啄」 ― 문 두들기는 소리를 말함. 韓愈의 剝啄行에 「剝剝啄啄有客至門 我不出應 客去而嗔」이라 하였음.
문[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75 페이지 / 전적]
「剝啄」敲門聲인데 見上.
문간(門間)[노정가라(노졍기라) 23 페이지 / 전적]
대문이나 중문(重門) 따위 출입문이 있는 곳.
문간공 성선생(文簡公 成先生)[송강집(松江集四)4 3 페이지 / 전적]
우계선생(牛溪先生)
문걸쇠[쌍옥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문고리(문을 걸어 잠그거나 여닫는 손잡이로 쓰기 위하여 문에 다는 고리)’의 방언.
문견(聞見)[오륜가라 37 페이지 / 전적]
듣고 보는 것.
문견(聞見)[구쟉가 12 페이지 / 전적]
보고 들음.
문견(聞見)[용문가라 3 페이지 / 전적]
보거나 듣거나 하여 깨달아 얻은 지식.
문견(聞見)[오륜가라 29 페이지 / 전적]
① 보고 들음. ② 보거나 듣거나 하여 깨달아 얻은 지식.
문견(聞見)[가사소리 29 페이지 / 전적]
① 보고 들음. ② 보거나 듣거나 하여 깨달아 얻은 지식.
문견(聞見)[역대삼재가라 16 페이지 / 전적]
견문. 보고 들은 것.
문경(聞慶)[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74 페이지 / 전적]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聞慶)새재[유경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경상북도 문경시와 충청북도 괴산군 사이에 있는 고개.
문경(聞慶)새재[유경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경상북도 문경시와 충청북도 괴산군 사이에 있는 고개.
문경무위(文經武緯)[궁장가(宮墻歌) 3 페이지 / 전적]
경위(經緯)는 직물(織物)의 날과 씨를 아울러 이르는 말인데, 문경무위는 문을 날로 삼고 무를 씨로 삼는다는 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