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문망(問亡)[자치가라 18 페이지 / 두루마리]

조문(弔問)과 같은 뜻.

문명(文命)[송강집(松江集三)3 24 페이지 / 전적]

우(禹)를 가리킴

문모(文每)를……합하니[고봉선생문집 권이(高峰先生文集 券二) 170 페이지 / 전적]

문모는 훌륭한 어머니를 일컫는 말로 여기에서는 명종의 어머니인 문정왕후(文定王后)를 가리키며, 현묵(玄黙)은 사려가 깊고 과묵함을 뜻한다.

문목(問目)[삼한가라(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질문의 제목이나 조목.

문목(問目)[구쟉가 17 페이지 / 전적]

죄인 등을 신문(訊問)하는 조목(條目).

문묘[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13 페이지 / 전적]

「文廟」- 明 永樂 八年에 先師孔子의 廟를 改稱하여 文廟라 하였는데. 淸代에도 이를 인습하였음.

문묘[팔역가(八域歌) 26 페이지 / 전적]

공자를 배향하는 문묘에서 함께 제사를 모심

문무(文武)[해방후환히락가(방후환히락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문관과 무관을 아울러 이르는 말.

문무(文武)[해방후환히락가(방후환히락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문관과 무관을 아울러 이르는 말.

문무(文武)[셔운가 28 페이지 / 전적]

문무관(文武官)'의 준말.문관(文官)과 무관(武官).

문무(文武)[셔운가 28 페이지 / 전적]

문무관(文武官)'의 준말.문관(文官)과 무관(武官).

문무(文武)[셔운가 28 페이지 / 전적]

문무관(文武官)'의 준말.문관(文官)과 무관(武官).

문무(文武)[셔운가 28 페이지 / 전적]

문무관(文武官)'의 준말.문관(文官)과 무관(武官).

문무(文武)[녁대가(녁가) 19 페이지 / 전적]

주나라 문왕과 무왕을 가리킴.

문무겸전(文武兼全)[그리져리구경하고 8 페이지 / 전적]

문식과 무략을 다 갖추고 있음.

문무겸전(文武兼全)[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55 페이지 / 전적]

문식(文識)과 무략(武略)을 다 갖추고 있음.

문무왕(文武王)[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39 페이지 / 전적]

신라 제30대 왕(?~681). 성은 김(金). 이름은 법민(法敏). 태종 무열왕의 맏아들로 김유신과 함께 백제, 고구려를 멸망시키고 중국 당나라 세력을 몰아내어 삼국 통일을 이룩하였다. 당악(唐樂), 신력(新曆) 따위의 당나라 문화를 수입하는 데에 노력하였고, 죽은 후 유언에 따라 동해의 대왕암에 수장되었다.

문무왕(文武王)[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46 페이지 / 전적]

신라 제30대 왕(?~681)으로 성은 김(金), 이름은 법민(法敏)이다. 태종 무열왕의 맏아들로 김유신과 함께 백제, 고구려를 멸망시키고 중국 당나라 세력을 몰아내어 삼국 통일을 이룩하였다. 당악(唐樂), 신력(新曆) 따위의 당나라 문화를 수입하는 데에 노력하였고, 죽은 후 유언에 따라 동해의 대왕암에 수장되었다. 재위 기간은 661~681년이다.

문무접무(文武蝶舞)[화초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문무는 文武舞를 말하는 것으로 궁중에서 아악(雅樂)을 연주할 때 악생(樂生)들이 문관(文官)과 무관(武官)의 복색을 차리고 줄을 지어 추는 춤이다. 접무는 나비춤이다.

문무접무(文武蝶舞)[화초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문무는 文武舞를 말하는 것으로 궁중에서 아악(雅樂)을 연주할 때 악생(樂生)들이 문관(文官)과 무관(武官)의 복색을 차리고 줄을 지어 추는 춤이다. 접무는 나비춤이다.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