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꼭두상투[동상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꼭뒤상투의 오기(誤記). 꼭뒤상투는 뒤통수 한가운데에 튼 상투.

꼽이[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83 페이지 / 전적]

「眼花」―눈꼽을 말함。杜甫의 飮中八仙歌에「知章騎馬似乘船眼花落井水底眠」의 句가 있음。

꽂침[남천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꽂히다.

꽂침[남천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꽂히다.

꽃가지는[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158 페이지 / 전적]

「花枝欲動」-王維의 詩에『草色全經細雨濕 花枝欲動春風寒』의 句가 있음.

꽃다운[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55 페이지 / 전적]

「掩抑」― 止息抑制하는 貌임. 白樂天의 琵琶行에 「絃絃掩抑聲聲思」란 句가 있음」

꽃만 보며 말없이 동창에 기대어 섰네.[석천집(石川集二-二)2-2 22 페이지 / 전적]

(원주) 공이 나에게 청해, 정자에 올라 바다를 보자고 했다. 그러나 병을 앓느라고 가보지 못했다.

꽃밭에 불 지르는[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49 페이지 / 전적]

화전충화(花田衝火, 젊은이의 앞을 막거나 그르치게 함.)를 이름.

꽃으로 산 노아라[초당춘수곡 11 페이지 / 전적]

돌아가는 술잔마다 꽃으로 셈하는 것.

꽃자리[동상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꽃돗자리. 꽃의 모양을 놓아 짠 돗자리.

꾀꼬리[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40 페이지 / 전적]

「晛睆音」―꾀꼬리 소리를 말함. 詩經衛風 凱風에「晛睆黃鳥載好其音」이란 句가 있음.

꾸역꾸역[이별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밥이나 음식을 한꺼번에 많이 넣고 먹는 모양처럼 포기하지 않고 굳이 취하는 것.

꾸져놓고[회초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꾸짖어 놓고.

꾸진거던[소동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꾸짖거든.

꿈나라[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91 페이지 / 전적]

「蘧蘧」―꿈을 말한 것임.莊子齊物論에「昔者莊周夢爲胡蝶栩栩然胡蝶也 俄然覺之 蘧蘧然周也」라 하였음.

꿈속이나 마긔나이[복션화음록 13 페이지 / 전적]

꿈속이나 마귀지만. 꿈속에서나 마귀 같지만.

꿈틀꿈틀[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22 페이지 / 전적]

「蠋蠋」- 幼虫의 總稱인데, 여기는 누에를 말함. 詩經 豳風 東山에「蜎蜎者蠋

꿰미에[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43 페이지 / 전적]

「貫盈」- 罪가 극에 달했다는 말임. 書經 泰誓에「商罪貫盈」이라 했고 䟽에「紂의 惡이 마치 物이 繩孛의 貫에 있어 하나로 꿰어 그 惡이 이미 가득찼겠다」라 하였음.

끄승개[직금가라 7 페이지 / 전적]

베를 맬 때, 실을 켕기는 기구. 돌을 올려놓으며 끌리게 되어 있다.

끄어내여[소동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끌어내어.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