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나귀구종[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26 페이지 / 전적]
나귀를 모는 우두머리.
나기안(羅碁案)[평지행룡(平地行龍) 2 페이지 / 전적]
바둑판을 펼쳐놓은 듯한 형국의 바위.
나기안(羅碁案)[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2 페이지 / 전적]
바둑판을 펼쳐놓은 듯한 형국의 바위.
나누니[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七)7 38 페이지 / 전적]
仁宗의 外家인 尹任의 一家와 明宗의 外家인 尹元衡의 一家를 말한것임 결국 兩家의 爭權으로 인해 乙巳士禍가 일어난 것임.
나는[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46 페이지 / 전적]
「飛髇」―髇는 鳴鏑인데 화살촉을 말함. 바로 莊子에 稱한 「嚆失」임.
나달가셔[셕별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날과 달이 가서.
나대없는[회초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얌전히 있지 못하고 철없이 촐랑거리는.
나라[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50 페이지 / 전적]
「問爲邦」- 論語 衛靈公篇에「顔淵問爲邦 子曰行夏之時 乘殷之輅 服周之冕 樂則韶舞 放鄭聲 遠侫人 鄭聲淫 侫人殆」라 하였음.
나라(羅羅)[도덕가(道德歌) 2 페이지 / 전적]
악기 소리가 은은하게 나는 것.
나라가 파탄되고 백성이 망함[삼강오륜가 서 5 페이지 / 전적]
국파민망(國破民亡).
나라는 파탄되고 백성은 망하게 됨[삼강오륜가 서 8 페이지 / 전적]
국파 민망(國破民亡).
나라의 어려움에 임하여 죽음에 이르는 것[삼강오륜가 서 9 페이지 / 전적]
임난치사(臨難致死).
나락[사절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벼
나락[긔수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벼[稻]의 경상북도 사투리.
나랏님께[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七)7 105 페이지 / 전적]
一城의 主를 말함. 예날에 州牧太守들이 많이 稱하였음. 古樂府에 「三十侍中郞 四十專城居」가 있음.
나래[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97 페이지 / 전적]
「毰毸」―새가 날개치는 것임.劉禹錫詩에「毰毸飽腹蹲枯枝」의 句가 있음.또한 陪鰓라고도 하는데 뜻은 같음.
나래[몽별가라 12 페이지 / 두루마리]
‘날개’의 방언(강원, 함경).
나래[몽별가라 12 페이지 / 두루마리]
‘날개’의 방언(강원, 함경).
나래[낙향이별가 7 페이지 / 전적]
날개의 방언.
나루(覶縷)[반졀퓨리 6 페이지 / 전적]
말수가 많고 수다스러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