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나장(羅將)[북쳔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금부나장, 조선시대에 군아(軍衙)에 속한 사령.

나장(羅將)[북쳔가 10 페이지 / 두루마리]

금부나장, 조선시대에 의금부에 속하여 죄인을 문초할 때에 매질하는 일과 귀양 가는 죄인을 압송하는 일을 맡아보던 하급 관리.

나장(邏將)[로인가 6 페이지 / 전적]

의금부(義禁府)의 하급 관리.

나전한[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22 페이지 / 전적]

羅世纘 字는 丕承, 號는 松齋요 羅州人으로 生員 彬의 子이다. 中宗戊子에 文科에 올라 累進하여 官은 大司憲이요 退溪河西와 함께 湖堂에 賜暇되었음.

나정(蘿井)[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34 페이지 / 전적]

신라의 시조(始祖) 박혁거세가 나온 알이 그 곁에 있었다고 하는 전설상의 우물. 경주 양산에 있었다고 한다.

나정암(羅整菴)[ 1 페이지 / ]

정암은 명 나라 때의 학자인 나흠순(羅欽順)의 호. 자(字)는 윤승(允升)이며 시호는 문장(文莊). 벼슬을 사양하고 20여 년간 시골에서 격물치지학(格物致知學)에 전념하고「곤지기(困知記)」를 지었으며 문집으로는「정암존고(整菴存稿)」가 있다.《明史 卷二百八十二 羅欽順列傳》

나정암(羅整菴)[고봉선생문집 권삼(高峰先生文集 券三) 120 페이지 / 전적]

정암은 명 나라 때의 학자인 나흠순(羅欽順)의 호. 자(字)는 윤승(允升)이며 시호는 문장(文莊). 벼슬을 사양하고 20여 년간 시골에서 격물치지학(格物致知學)에 전념하고「곤지기(困知記)」를 지었으며 문집으로는「정암존고(整菴存稿)」가 있다.《明史 卷二百八十二 羅欽順列傳》

나졸(邏卒)[회심곡 11 페이지 / 두루마리]

조선시대 포도청에 속하여 관할 구역의 순찰과 죄인을 잡아들이는 일을 맡았던 하급 병졸.

나주(羅州)[백운처사경독가라(운처사경독가라) 4 페이지 / 전적]

전라남도의 중서부 나주평야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는 시.

나주(羅州)[호남가라 2 페이지 / 전적]

전라남도의 중서부 나주평야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는 시.

나주박씨(羅州朴氏)[한흥가라 61 페이지 / 전적]

원문에는 ‘나주나씨’라고 잘못 표기.

나주박씨(羅州朴氏)[한흥가라 61 페이지 / 전적]

원문에는 ‘나주나씨’라고 잘못 표기.

나주박씨(羅州朴氏)[한흥가라 61 페이지 / 전적]

원문에는 ‘나주나씨’라고 잘못 표기.

나주박씨(羅州朴氏)[한양가라 59 페이지 / 전적]

인종의 정비 인성왕후박씨(仁聖王后朴氏)의 본관(本貫).

나주박씨(羅州朴氏)[한양가라 60 페이지 / 전적]

선조의 정비 의인왕후박씨(懿仁王后朴氏)의 본관(本貫).

나주풍경(羅州風景)[호남가(湖南歌) 3 페이지 / 전적]

전라남도 중앙부에 위치한 한 군으로 원래 백제의 발자군(發蔗郡)이었다. 신라 때에 금산군(錦山郡), 후에 고려 때에는 나주(羅州) 등으로 되었다가 조선조 세조(世祖) 때에는 진(鎭)을 두어 관할했다. 금성산성(錦城山城), 다보사(多寶寺) 등의 명승 고적이 많다.

나진(羅津)[자탄가 10 페이지 / 두루마리]

함경북도 북쪽에 있는 항구도시.

나짐며[소동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낮이면. 낮이 되면.

나찰[제삼별회심곡(第三別囬心曲) 9 페이지 / 전적]

악한 귀신의 하나. 푸른 눈ㆍ검은 몸ㆍ붉은 머리털을 하고서 사람을 잡아먹으며, 지옥에서 죄인을 못살게 군다고 함. 야차(夜叉)와 함께 비사문천(毘沙門天)에게 딸린 식구.

나찰(羅刹)[일회심곡(一回心曲) 5 페이지 / 전적]

불교용어로 팔부의 하나. 푸른 눈과 검은 몸, 붉은 머리털을 하고서 사람을 잡아먹으며, 지옥에서 죄인을 못살게 군다고 함. 나중에 불교의 수호신이 되었음.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