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나삼(羅衫)[두껍전이라(겁젼이라) 11 페이지 / 전적]

혼례 때에 신부가 활옷을 벗고 입는 예복. 연둣빛 길에 자줏빛 깃을 달고, 소매는 색동으로 만들었음.

나삼(羅衫)[두껍전이라(겁젼이라) 15 페이지 / 전적]

혼례 때에 신부가 활옷을 벗고 입는 예복.

나삼(羅衫)[죽엽가(쥭엽가) 11 페이지 / 전적]

혼례 때에 신부가 활옷을 벗고 입는 예복. 연둣빛 길에 자줏빛 깃을 달고, 소매는 색동으로 만들었음.

나삼(羅衫)[어부사 퇴계(어부퇴계 ) 5 페이지 / 전적]

혼례 때에 신부가 활옷을 벗고 입는 예복.

나색[오륜가라 9 페이지 / 전적]

‘내색’의 잘못.

나생이꽃[회초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냉이꽃.

나석주(羅錫疇)[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68 페이지 / 전적]

독립운동가(1892~1926). 3ㆍ1 운동 후에 중국으로 망명하여 의열단에 가입하였다. 1926년 12월 28일에 동양 척식 주식회사와 식산 은행에 폭탄을 던지고 자결하였다.

나송재[팔역가(八域歌) 31 페이지 / 전적]

송재 나세찬, 금성인으로 조선 중기 대표적 문인 학자

나송재[팔역가(八域歌) 45 페이지 / 전적]

금성인 나세찬, 조선 중종 대 유명한 문인, 김안로와 갈등으로 고성에 위리안치되어 忠信 두 글자를 새겨두 고 조석으로 궁궐쪽에 절함

나신(裸身)[대효가(大孝歌) 5 페이지 / 전적]

벌거벗은 몸.

나신(裸身)[사군가(事君歌) 1 페이지 / 전적]

벌거벗은 몸.

나연후의[앤여가(여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난 연후에. 난 다음에.

나열(羅列)[츅친서라 7 페이지 / 전적]

나란히 줄을 짓거나 죽 벌여놓음.

나열(羅列)[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64 페이지 / 전적]

죽 벌여 놓음.

나열(羅列)[한양가라 65 페이지 / 전적]

줄지어 서다.

나온듸 전이잇고[역대가라(역가라) 11 페이지 / 전적]

나온 데 전혀 잊고. 나온 곳 전혀 잊고.

나온듸 전이잇고[위옥자회가라(위옥과회가라) 2 페이지 / 전적]

나온 데 전혀 잊고. 나온 곳 전혀 잊고.

나올적[ 1 페이지 / ]

떠나올 적.

나옹(懶翁)[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69 페이지 / 전적]

고려말기의 중(1320~1376)으로 속성은 아(牙), 속명은 원혜(元惠), 호는 나옹(懶翁)·강월헌(江月軒)이다. 중국 원나라에서 인도의 중 지공(指空)에게 배운 뒤에 귀국하여 왕사가 되었다. 보우(普愚)와 더불어 고려 말 선종의 대가로서 이후의 불교 발전에 큰 영향을 끼쳤다.

나옹선사(懶翁禪師, 1320-1376)[금강산유람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고려 말의 고승(高僧)으로 중국 각지를 편력하며 견문을 넓힌 뒤 귀국하여 왕의 요청으로 신광사(神光寺)에 머물며 홍건적(紅巾賊)의 침입 때 사찰을 지킴.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