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5,089개

촌탁(忖度)하니[권학가 4 페이지 / 전적]

미루어 헤아리니.

촌항(村巷)[금강산유람가 14 페이지 / 두루마리]

시골의 후미지고 으슥한 길거리.

촌호(村戶)[경노의심곡 13 페이지 / 두루마리]

시골사람.

촛불[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71 페이지 / 전적]

「風燭」―風燈이라도 하는데 風前의 燈燭이 꺼지기 쉬우므로人事의 無常을 비유한 것임.西域記에「世間富貴 危甚風燭」이라 했고 蘇軾詩에 「過眼百世如風燈」이라 하였음.

총(總)[신행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전부 모두

총각시절[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39 페이지 / 전적]

「丱角」―總角시절을 말함 詩經 齊風甫田에「婉兮變兮 總角丱兮」란 구절이 있는데 그 註에「丱은 兩角같은 모양이다」라 했음.

총균叢筠[ 1 페이지 / ]

총죽叢竹.무더기로 난 대

총도잇게[소동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촉돌(觸突) 있게. ‘부딫치게’의 뜻인 것 같다.

총득(總得)[천지지분이라(천디디분이라) 7 페이지 / 두루마리]

모두 다 얻음.

총령(螟蛉)[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76 페이지 / 전적]

「螟蛉」―桑樹上에 있는 小虫을 말함.詩經 小雅 小宛에「螟蛉有子 蜾羸負之 敎誨爾子 式穀似之」라 했는데 傳에 「蜾羸은 土蜂으로 벌과 같으나 허리가 작다.桑上의 靑虫을 물어다가 木空中에 두고 입김을 넣으면 七日만에 제새끼로 化한다」하였음. 여기는 모두가 善人을 닮아간다는 뜻으로 쓴 것임.

총림叢林[ 1 페이지 / ]

잡목이 우거진 숲

총마(驄馬)[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102 페이지 / 전적]

「驄馬」-御史에게 쓰는 말임. 後漢書桓典傳에『拜侍御史 常乘驄馬 京師畏憚 爲之語曰 「行行且止 避驄馬御史」라 하였음.

총마(驄馬)[석천집(石川集二-三)2-3 25 페이지 / 전적]

총마어사(驄馬御史). 후한(後漢) 때에 환전(桓典)이 시어사(侍御史)가 되어 항상 푸른 빛깔에 흰빛이 섞인 총마(驄馬)를 타고 다닌 데서 비롯된 말이다.

총망(悤忙)[답사향곡(답향곡) 6 페이지 / 전적]

매우 급하고 바쁨.

총망(悤忙)[명궁처아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바쁜 가운데.

총망(悤忙)히[환행가 32 페이지 / 두루마리]

매우 급하고 바쁘게.

총망(悤忙)히[환행가 32 페이지 / 두루마리]

매우 급하고 바쁘게.

총망(悤忙中)[오윤가 14 페이지 / 전적]

매우 급하고 바쁜 가운데.

총망중(悤忙中)[명륜가(明倫歌) 29 페이지 / 전적]

몹시 바쁘고 급한 중에.

총명(聰明)[백발가(白髮歌) 2 페이지 / 전적]

썩 영리하고 재주가 있음.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