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최후궁(崔後宮)[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39 페이지 / 전적]
영조의 어머니 숙빈 최씨(1670~1718)
추(秋)[ 1 페이지 / ]
여기서는 추상 秋霜의 준말로서 흰머리를 가리킨다.
추(麤)사각(砂角)[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4 페이지 / 전적]
거친 끝이 뾰족한 사(砂), 산봉우리 끝이 거칠게 뾰족뾰족한 산세의 형국.
추(麤)사각(砂角)[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4 페이지 / 전적]
거친 끝이 뾰족한 사(砂), 산봉우리 끝이 거칠게 뾰족뾰족한 산세의 형국.
추(麤)사각(砂角)[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2 페이지 / 전적]
거친 끝이 뾰족한 사(砂), 산봉우리 끝이 거칠게 뾰족뾰족한 산세의 형국.
추강(秋江)[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78 페이지 / 전적]
南孝溫의 字는 伯恭 號는 秋江인데 宜寧人이요 宜寧府院君 南在의 五代孫이다 早孤하여 偏母를 孝養하였으며 志尙이 高孤하였거니와 佔畢齋 金宗直에게 受業하여 德噐를 더욱 大成하였다.成宗 二十年에 二十八歲의 나이로 昭陵의 復位를䟽請하였으며 뒤에 李孟專 趙旅, 元昊, 金時習, 成聃壽와 더불어 西山書院에 配享되어 生六臣이라 稱함.
추강(秋江)[초한가라 19 페이지 / 전적]
가을 강.
추강(秋江)[북쳔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가을철의 강.
추강(秋江)[팔도가 6 페이지 / 전적]
가을 강.
추강(秋江)[팔도가 6 페이지 / 전적]
가을 강.
추경(樞卿)[석천집(石川集二-三)2-3 120 페이지 / 전적]
정응두(丁應斗,1508-1572). 조선 중종,선조 때의 문신. 추경(樞卿)은 그의 자(字). 병조참판,평안도 관찰사,판중추부사 등을 지냈다.
추경(秋耕)[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22 페이지 / 전적]
가을갈이.
추고(推敲)[한흥가라 22 페이지 / 전적]
퇴고(推敲).
추고(推敲)[한흥가라 22 페이지 / 전적]
퇴고(推敲).
추고(推敲)[한흥가라 22 페이지 / 전적]
퇴고(推敲).
추고(推考)[백세보중(百世葆重 一)1 13 페이지 / 전적]
솟장의 내용을 살피고 따지는 것.
추고(推考)[한양가라 20 페이지 / 전적]
퇴고(推敲)와 같은 말로 글을 지을 때 여러 번 생각하여 고치고 다듬고 하는 행위를 말한다. 당나라 시인 가도(賈島)가 ‘僧推月下門’이란 시구를 지을 때 ‘推’를 ‘敲’로 바꿀까 말까 망설이다가 한유(韓愈)를 만나 그의 조언으로 ‘推’로 결정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추관(推官)[송강집(松江集六)6 44 페이지 / 전적]
관명(官名). 옥사를 추문하는 관리
추관(推官)[문청공유사 사계수필(文淸公遺事 沙溪手筆) 9 페이지 / 전적]
죄인을 추국(推鞫)할 때, 심문하는 관원.
추광(秋光)[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23 페이지 / 전적]
추색(秋色). 앞에 든 각주 224)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