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5,089개

총적불고 죽마타고[사향곡(향곡) 7 페이지 / 전적]

어린 시절에 노는 모습.

총쳥녹음[상사곡가사(상곡가사) 7 페이지 / 전적]

총청녹음(叢靑綠陰). 푸른 녹음.

총총[석천집(石川集二-五)2-5 78 페이지 / 전적]

환한 모양

총총(匆匆)하다[제석회향가(除夕懷鄕歌) 2 페이지 / 두루마리]

매우 바쁘다.

총총(匆匆)하다[제석회향가(除夕懷鄕歌) 2 페이지 / 두루마리]

매우 바쁘다.

총총(蔥蔥[북쳔가 10 페이지 / 두루마리]

나무 등이 빽빽하여 무성하게 푸른 모양을 나타내는 말.

총총(蔥蔥)[북쳔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빽빽하고 무성한 모습.

총총가기(葱葱佳氣)[북쳔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싱싱하고 상서로운 기운.

총총불비답(悤悤不備答)[충행단국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예를 다 갖추지 못하였다는 뜻으로 흔히 한문 투의 편지 끝에 쓰는 말.

총출(總出)[추월감 3 페이지 / 두루마리]

모두 나옴.

총출(總出)[환행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전부(全部)가 모두 나옴.

총출(總出)[환행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전부(全部)가 모두 나옴.

최 호(崔浩)[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六)6 145 페이지 / 전적]

「崔浩」-北魏 淸河人으로 字는 佰淵인데 羣書를 博覽하고 天文을 明識하였으며 著作郞의 官을 歷任하고 世祖時에는 侍中으로 撫軍大將軍에 持進되었으며 多智善謀하여 朝廷에서는 軍國大計를 다 浩에게 諮問하여 施行하였다. 浩는 國書三十卷을 지었으며 帝에게 告하여 天下의 沙門을 모조리 베고 經과 佛像을 焚毁하자고 하니 帝는 이에 따랐음.

최(崔)[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10 페이지 / 전적]

「崔尹」- 崔는 新齋, 尹은 士栗임.

최경회(崔慶會)[한양가라 61 페이지 / 전적]

조선 전기 문신이자 의병장(1532-1593)으로 1593년 경상도병마절도사로 진주성에 주둔 중 6월 가토 기요마사 등이 다시 진주성를 공격해오자, 김천일(金千鎰), 황진(黃進) 등과 분전했으나, 9일 만에 진주성이 함락되자 남강에 투신자살하였다.

최경회(崔慶會)[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18 페이지 / 전적]

조선 중기의 문신. 1567년 식년문과에 급제하여 영해군수가 되었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장이 되어 금산, 무주 등지에서 왜병과 싸워 크게 이겼다. 이듬해 경상우도병마절도사로 승진했으나 6월 제2차 진주성 싸움에서 9주야를 싸우다가 전사했다.

최고운[팔역가(八域歌) 17 페이지 / 전적]

신라 말기 최치원

최고운(崔孤雲)[가야희인곡 6 페이지 / 두루마리]

통일 신라 말기의 학자이자 문장가인 최치원(崔致遠)을 말함. 고운은 그의 자(字). 12세에 입당(入唐)하여 과거에 급제, 많은 벼슬을 지냈으며, 〈토황소격문(討黃巢檄文)〉으로 이름을 떨쳤음. 관직에서 물러난 뒤에는 각지를 유랑하였고 만년에는 가야산 해인사에 머물렀음.

최고죽[팔역가(八域歌) 38 페이지 / 전적]

조선 중기 문인 최경창, 삼당 시인

최공(崔公)[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70 페이지 / 전적]

「崔公喪」- 北齊 崔慰祖가 父喪을 당하여 소금을 먹지 아니하니, 그 母가 말하기를 「네가 兄弟도 없고 또 자식을 아직 두지못했으니 毀不滅性」이란 말이 있는데, 어찌하여 소금조차 먹지않느냐.나도 이제부터는 밥을 먹지 않겠다」하므로 慰祖는 마지 못해 母言을 따랐다 하였음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