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5,089개

최선우(崔善遇)[한흥가라 62 페이지 / 전적]

‘최경회(崔慶會)’의 자(字)가 선우(善遇)임.

최승우[팔역가(八域歌) 37 페이지 / 전적]

신라 대 당나라 유학생

최시형(崔時亨)[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58 페이지 / 전적]

동학의 제2대 교주(1827~1898). 초명은 경상(慶翔). 자는 경오(敬悟). 호는 해월(海月). 경전(經典)을 간행하여 교리를 확립하고 교단의 조직을 강화하였다. 고종 29년(1892)에 동학 탄압에 분개하여 교조(敎祖)의 신원(伸寃)을 상소하였고, 1897년 손병희에게 도통을 전수하였다. 1898년 3월 원주에서 체포되어 서울로 압송, 6월 2일 교수형을 당하였다.

최영(崔瑩)[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46 페이지 / 전적]

고려 말기의 명장·재상(1316~1388)이다. 친원파(親元派)로서 1388년에 팔도(八道) 도통사가 되어 명나라를 치러 출정하였으나 이성계의 회군(回軍)으로 실패하고 후에 그에게 피살되었다.

최영경(崔永慶, 중종 24, 1529~선조 23, 1590)[문청공유사 사계수필(文淸公遺事 沙溪手筆) 32 페이지 / 전적]

자는 효원(孝元) 호는 수우당(守愚堂), 조식의 문인. 선조 6년 이조의 천거로 참봉 주부 도사 지평 등에 임명되었으나 모두 사퇴하고, 선조 17년 교정청낭관(敎正廳郎官)이 되어 경서훈해(經書訓解)의 교정에 참여하고 곧 낙향했다. 선조 22년(1589) 정여립 모반사건 때 그가 모반사건의 배후자 길삼봉(吉三峰)이라는 무고로 투옥되었다가 석방되었으나, 다시 정철의 국문을 받다가 옥사했다.

최영귀(最靈貴)는[경세가(警世歌) 4 페이지 / 전적]

가장 귀한 것은.

최영귀(最靈貴)는[원시가(源時歌) 2 페이지 / 전적]

가장 귀한 것은.

최용걸[화전가1 14 페이지 / 전적]

??

최용걸[화전가2 14 페이지 / 전적]

??

최우(崔瑀)[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57 페이지 / 전적]

고려 시대 무신 정권기의 집권자(?~1249)로 시호는 광렬(匡烈)이다. 최충헌의 아들로 전대(前代)의 부패를 없애기 위하여 노력하였으며 이름난 유학자를 등용하는 한편, 몽고의 침입에 대비하여 강화로 천도(遷都)하고 대장경판(大藏經板) 재조(再雕)를 완성하였다.

최원(崔遠)[백세보중(百世葆重 二-二)2-2 5 페이지 / 전적]

무신으로 임진왜란 당시 전라도 병마절도사였다. 의병장 김천일과 함께 강화도에 들어가 군량을 조달하고 의병을 모집하였다. 얼마 후 풍덕(豊德)에 나가 싸워 패했으나 이듬해 영천(永川)에서 200여명의 적을 참획하는 전과를 올리었다.

최유[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65 페이지 / 전적]

본관은 해주(海州), 몽골 이름은 티무르부카(帖木兒不花)로 용주(龍州) 출신이다. 아버지는 동지밀직사사(同知密直司事) 안도(安道)로 입원숙위(入元宿衛)하여 원(元)나라에서 태부태감(太府太監)을 지낸 친원분자(親元分子)였다. 충혜왕 때 여러 관직을 거쳐 군부판서(軍簿判書)가 되었다. 1342년(충혜왕 복위 3) 앞서 조적(曺頔)의 난 때 왕을 시종한 공으로 1등공신이 되었으며 원나라에서 벼슬하여 어사(御史)가 되었다. 이때 권세를 믿고 유부녀를 강간하는

최윤덕(崔潤德)[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83 페이지 / 전적]

조선 초기의 무신(1376~1445)으로 자는 백수(伯脩)·여화(汝和), 호는 임곡(霖谷)이다. 병조 판서, 우의정, 좌의정을 지냈다. 세종 때 쓰시마(對馬) 섬을 정벌하고 여진족을 토벌하는 등 여러 싸움에서 공을 세웠다.

최응(崔凝)[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48 페이지 / 전적]

고려시대의 문신으로 본관 황주(黃州). 시호 희개(熙愷)이다. 오경(五經)에 밝고 문장이 뛰어나 궁예(弓裔) 밑에서 한림랑(翰林郞)으로 있으면서 신임을 얻었다. 915년(신덕왕 4) 궁예가 왕건(王建)에게 모반의 누명을 씌울 때 왕건이 변명하자, 장주(掌奏)로 그 자리에 있던 최응이 붓을 일부러 뜰에 떨어뜨리고 주우러 내려가, “굽히지 않으면 위태롭다”고 왕건에게 귀띔, 굴하게 함으로써 화를 면하게 하였다. 그 후 왕건이 즉위하자 지원봉성사(知元鳳省事)

최의(崔竩)[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59 페이지 / 전적]

고려 무인정권기의 집권자로 본관은 우봉(牛峯), 아버지는 항(沆)이다. 어머니가 노비였으나 항의 본처에게 소생이 없었으므로 대를 잇게 되었다.1255년 전중내급사(殿中內給事)가 되었으며, 1257년 아버지가 죽자 최영(崔瑛)·채정(蔡貞)·유능(柳能) 등의 옹위로 차장군(借將軍)·교정별감(敎定別監)이 되어 최고집정자 자리에 올랐다. 그러나 그는 천계 소생으로 조정대신들의 지지를 얻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집권 초기의 선정도 오래가지 못했다.

최익현(崔益鉉)[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62 페이지 / 전적]

조선 후기의 문신(1833~1906)으로 대유학자(大儒學者)로 대원군을 탄핵하였으며 갑오개혁 때 단발령에 반대하였음. 을사조약을 반대하여 의병을 일으켰으며 유배지 쓰시마[對馬] 섬에서 단식사(斷食死)하였음.

최일천[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26 페이지 / 전적]

미상

최절(摧折)[별한가 17 페이지 / 전적]

억눌러서 제어함.

최제우(崔濟愚)[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49 페이지 / 전적]

동학의 창시자(1824~1864). 초명은 복술(福述)ㆍ제선(齊宣). 자는 성묵(性默). 호는 수운(水雲)ㆍ수운재(水雲齋). 37세 때 동학을 창도하였으며, 후에 사도 난정(邪道亂正)의 죄목으로 체포되어 참형되었다. 저서에 ≪동경대전≫, ≪용담유사≫ 따위가 있다.

최존 최귀(最尊最貴)[권왕가 38 페이지 / 전적]

가장 존귀함을 강조한 말. 가장 지위가 높고 귀함.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