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최대(最大)[이율곡선생권선가(李栗谷先生勸善歌) 3 페이지 / 전적]
가장 큼.
최덕지[팔역가(八域歌) 37 페이지 / 전적]
조선시대 문인
최령(最靈)[론학가권지일 17 페이지 / 전적]
가장 영험함.
최령(最靈)[론학가권지일 17 페이지 / 전적]
가장 영험함.
최령(最靈)[회혼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가장 신령함.
최령(最靈)[창덕가2 93 페이지 / 전적]
가장 영험함.
최령(最靈)[창덕가2 94 페이지 / 전적]
가장 영험함.
최령(最靈)하고[쌍옥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가장 신령스럽다는 뜻.
최령(最靈)이[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3 페이지 / 전적]
최령하니. 가장 신령하니
최루(催淚)[회혼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눈물을 흘리게 함.
최마(衰麻)[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45 페이지 / 전적]
「衰麻」- 麻布로 지은 喪服을 말함. 喪服의 上은 衰 下는 裳인데 衰는 摧의 뜻이다. 五服中의 가장 重한 것은 斬衰인데 斬은 不緝이다. 衣旁 및 下際를 다 綘緝하지 아니한다.
최면면[용문가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최면재면(催面再面). 인사를 재촉하고, 다시 인사한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최명길(崔鳴吉)[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28 페이지 / 전적]
조선 중기의 문신(1586~1647)으로 병자호란 때에 화평(和平)을 주장하고 항서(降書)를 써서 청나라에 항복하였다.
최명길(崔鳴吉)[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29 페이지 / 전적]
조선 중기의 문신(1586~1647). 자는 자겸(子謙). 호는 지천(遲川)ㆍ창랑(滄浪). 병자호란 때에 화평(和平)을 주장하고 항서(降書)를 써서 청나라에 항복하였다. 성리학과 문장에 뛰어나고 글씨에도 일가를 이루었다. 저서에 ≪지천집≫, ≪경서기의(經書記疑)≫ 등이 있다.
최무선(崔茂宣)[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66 페이지 / 전적]
고려 말기에서 조선 전기의 무기 발명가이자 장군(?~1395)으로 중국 원나라 사람에게서 화약 제조법을 배워 화통도감을 설치하고 화약과 화통·화포·화전 따위를 만들었으며, 이를 이용하여 진포(鎭浦)에 침입한 왜구를 크게 무찔렀다.
최박(催迫)하여[남천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핍박하여.
최박(催迫)하여[남천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핍박하여.
최산남(崔山南) 모친의 유고불태(乳姑不怠) 고사[효성가라 3 페이지 / 전적]
최산남은 당(唐) 나라 때 선비였는데그의 모친인 당(唐) 부인이 연로해진 조모 장손 부인에게 젖을 먹여 극진히 모셨다는 고사가 전함.
최선우(崔善遇)[한흥가라 62 페이지 / 전적]
‘최경회(崔慶會)’의 자(字)가 선우(善遇)임.
최선우(崔善遇)[한흥가라 62 페이지 / 전적]
‘최경회(崔慶會)’의 자(字)가 선우(善遇)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