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5,089개

칠신위려(漆身爲厲)[고분가 25 페이지 / 전적]

몸에 옻칠을 하여 문둥이가 되다.

칠실에서 나라 걱정[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163 페이지 / 전적]

춘추시대 노 나라 칠실이란 마을에 미가녀가 있었는데, 기둥을 안고 울었다. 이에 누가 묻기를 ‘시집을 못 갔기 때문인가?‘하니, 대답하기를 ‘어찌 그렇겠는가. 나라를 걱정하기 때문이다.‘고 했다는 고사.《烈女傳 仁智 魯漆室女傳》

칠십 제자[녁대가(녁가) 31 페이지 / 전적]

공자의 삼천 명 제자 중에 특히 육예(六藝

칠십문인(七十門人)[궁장가(宮墻歌) 4 페이지 / 전적]

공자의 제자 삼천인중(三千人中) 육예(六藝)에 능통(能通)한 자(者) 칠십이인(七十二人)을 말함.

칠십여경(七十餘更)[녁대가(녁가) 36 페이지 / 전적]

경(更)은 일몰부터 일출까지 하룻밤을 다섯으로 나누어 부르는 시간의 이름. 밤 7시부터 시작하여 두 시간씩 나누어 각각 초경, 이경, 삼경, 사경, 오경이라고 이름.

칠십옹(七十翁)[녁대가(녁가) 42 페이지 / 전적]

초나라의 책사이자 정치가인 범증(范增)을 가리킴. 유방(劉邦)의 모사 진평(陳平)의 계략에 빠진 항우는 범증을 쫓아내는데, 이후 범증은 천하를 떠돌다가 악성 등창이 생겨 실의 속에 죽었다고 함. 항우는 전쟁에서 패배한 뒤 범증을 쫓아낸 일을 뒤늦게 후회함.

칠십이인(七十二人)[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3 페이지 / 전적]

공자의 삼천 명 제자 중 육예(六藝

칠십이인(七十二人)[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3 페이지 / 전적]

공자의 삼천 명 제자 중 육예(六藝

칠십이인(七十二人)[한양가라 4 페이지 / 전적]

두문동칠십이인(杜門洞七十二人)을 가리키는 말로 조선전기에 새 왕조를 섬기는 것을 부끄럽게 여긴 고려의 충신 72인을 말한다. 조선후기 정조 때 왕명으로 표절사(表節祠)를 세워 배향(配享)하였다.

칠십이인(七十二人)[구궁환정구구가(九宮還定九九歌) 6 페이지 / 전적]

공자의 제자 72인을 이르는 듯하다.

칠십이인(七十二人) 도통(道統)해서[경화가(警和歌) 13 페이지 / 전적]

공자의 삼천제자 중 칠십이 인이 도통했다는 말임.

칠십이인(七十二人) 도통(道統)해서[경화가(警和歌) 13 페이지 / 전적]

공자의 삼천제자 중 칠십이 인이 도통했다는 말임.

칠십이현(七十二賢)[팔도안희가 7 페이지 / 전적]

고려가 멸망하고 조선이 건국되자 출사(出仕)하지 않고 충절(忠節)을 지킨 고려의 신하 72인을 말한다.

칠십이현(七十二賢)[거창가 3 페이지 / 전적]

공자의 제자들 가운데 72명의 뛰어난 제자들을 말함.

칠십이현(七十二賢)[거창가 3 페이지 / 전적]

공자의 제자들 가운데 72명의 뛰어난 제자들을 말함.

칠십이현(七十二賢)[거창가라 10 페이지 / 전적]

공자의 제자들 가운데 72명의 뛰어난 제자들.

칠십이현(七十二賢)[아림가(娥林歌) 10 페이지 / 전적]

공자의 제자들 가운데 72명의 뛰어난 제자들.

칠십이현(七十二賢)[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72 페이지 / 전적]

조선 전기에 새 왕조를 섬기는 것을 부끄럽게 여기어 경기도 개풍군 광덕산 두문동에 들어가 절의를 지켰던 고려의 충신 72인으로 조선 정조 때 왕명으로 표절사(表節祠)를 세워 배향(配享)하였다.

칠십일면(七十一面)[민탄가(民歎歌) 9 페이지 / 전적]

영남의 칠십일주(七十一州).

칠십제자(七十弟子)[붕우츠회곡 3 페이지 / 두루마리]

공자(孔子)의 제자 중 가장 뛰어난 제자들.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