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5,089개

칠현금(七絃琴)[구궁환정구구가(九宮還定九九歌) 3 페이지 / 전적]

고대 중국에서 사용하던 현악기의 하나로 일곱 줄을 매어 만든 일종의 거문고이다.이는 오현금에 문무현(文武絃)을 더한 것이다.

침(枕)[분별가(分別歌) 3 페이지 / 전적]

베개.

침계문방枕榽文房[ 1 페이지 / ]

소쇄원을 조영한 양산보가 평소 독서하며 기거했던 지금의 광풍각光風閣을 가리킴. 침계는 건물이 시냇가에 위치하여 마치 시내를 베고 있는 듯한 모양임을 이르고, 문방은 글방을 뜻한다.

침괴(枕塊)[거상제향가(居喪祭享歌) 8 페이지 / 전적]

흙덩이를 베게로 함.

침구장와(針灸長臥)[이십사룡입수(二十四龍入首) 35 페이지 / 전적]

침을 맞고 오랫동안 누워있게 된다.

침금(寢衾)[헌수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이부자리.

침금(寢衾)[헌수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이부자리.

침금(寢衾)[부모가훈계하는가사(부모가훈게하는가) 14 페이지 / 두루마리]

이불과 요.

침금(寢衾)[신힁가라 11 페이지 / 전적]

이부자리(이불과 요를 통틀어 이르는 말).

침금(寢衾)[축원하온가 12 페이지 / 두루마리]

이부자리.

침금(寢衾) 의복(衣服) 두(頭) 일습(一襲)[사친가2(思親歌(二)) 3 페이지 / 전적]

이부자리와 의복 등 으뜸 되는 것 한 벌. 일습(一襲) : 옷이나 그릇, 또는 그릇 따위의 한 벌.

침금(寢衿)[환무자탄가 15 페이지 / 전적]

이부자리. 이불과 요.

침노(侵擄)[오륜가라 24 페이지 / 전적]

성가시게 달라붙어 손해를 끼치거나 해침.

침노(侵擄)[오륜가라 24 페이지 / 전적]

성가시게 달라붙어 손해를 끼치거나 해침.

침노(侵擄)[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43 페이지 / 전적]

남의 나라를 불법으로 쳐들어가거나 쳐들어옴.

침두(枕頭)[양친가(養親歌) 5 페이지 / 전적]

베갯머리

침로(針路)하여[조씨가천소리 1 페이지 / 두루마리]

길을 가리키며.

침류왕(枕流王)[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30 페이지 / 전적]

백제 제15대 왕(?~385). 재위 원년(384)에 인도의 중 마라난타가 중국 동진(東晉)에서 불상을 가지고 들어와 불교를 전하였으며, 이듬해 한산(漢山)에 처음으로 절을 지었다.

침륜(沈淪)[교몽가 4 페이지 / 전적]

침몰.

침명(沈冥)[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79 페이지 / 전적]

「沉冥」- 玄寂과 같은 말인데 泯然하여 形跡이 없음을 이름 法言 問明에 「蜀莊沉冥」이라 했음.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