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5,089개

침명(沈冥)[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七)7 125 페이지 / 전적]

醉鄕에 逃避한 것을 말함.

침모(侵侮)[충효가(忠孝歌) 33 페이지 / 전적]

업신여기거나 깔봄.

침모(針母)[김씨효행가 20 페이지 / 두루마리]

남의 집에 매여 바느질을 맡아 하고 일정한 품삯을 받는 여자.

침문(寢門)[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七)7 109 페이지 / 전적]

儀禮 士喪禮에 「主人迎于寢門外」라 하였는데 註에 「寢門은 內門이다」라 하였음.

침문(寢門)[빈주접례가(賓主接禮歌) 3 페이지 / 전적]

자는 문.

침불안석(寢不安席)[노처녀가1(老處女歌 (一)) 3 페이지 / 전적]

걱정이 많아서 편안히 자지 못함.

침불안석(寢不安席)[상사진정몽가(相思陳情夢歌) 5 페이지 / 전적]

걱정이 많아서 편안히 자지 못함.

침사(針砂)[평지행룡(平地行龍) 1 페이지 / 전적]

사(砂)는 혈(穴)을 에워 싼 주변의 모든 산들을 일컬음. 옛 사람들이 모래를 가지고 형세를 설명하였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사(砂)의 형상을 보고 풍수적 길흉화복을 점침.

침사(針砂)[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1 페이지 / 전적]

사(砂)는 혈(穴)을 에워 싼 주변의 모든 산들을 일컬음. 옛 사람들이 모래를 가지고 형세를 설명하였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사(砂)의 형상을 보고 풍수적 길흉화복을 점침.

침상일몽(枕上一夢)[벽천가 27 페이지 / 전적]

잠을 자면서 잠깐 꾼 꿈.

침상잔몽(枕上殘夢)[청춘사연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이부자리 위에서 잠이 깰 무렵에 꾸는 꿈.

침상편시(枕上)[이화가젼 23 페이지 / 전적]

침상은 베개의 위. 잠을 자거나 누워 있을 때. 편시(片時)는 ‘잠시’라는 의미임.

침상편시(枕上)[이화가젼 23 페이지 / 전적]

침상은 베개의 위. 잠을 자거나 누워 있을 때. 편시(片時)는 ‘잠시’라는 의미임.

침상편시(枕上片時)[무제(고하매) 3 페이지 / 두루마리]

베갯머리에 잠시.

침상편시(枕上片時)[무제(고하매) 3 페이지 / 두루마리]

베갯머리에 잠시.

침상편시(枕上片時) 춘몽중(春夢中)에[회경가 21 페이지 / 전적]

봄에 얼핏 든 꿈 속에서라도 잠시

침서방적(針線紡績)[형제붕우소회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바늘과 실, 실을 내어 옷감을 짜는 일.

침석(寢席)[경게가라 13 페이지 / 전적]

잠자리.

침석(寢席)[경게가라 13 페이지 / 전적]

잠자리.

침석(寢席)을 불통(不通)하며[분별가(分別歌) 5 페이지 / 전적]

잠자리를 통하지 아니하며. 즉 뒤 섞여 자지 아니하며.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